책임자 엄중문책.대통령 대국민사과도 요구
한나라당은 27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전효숙(全孝淑) 헌법재판소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을 전격 철회키로 한 데 대해 "만시지탄"이라며 환영했다.
한나라당은 그러나 `전효숙 카드' 포기와 여.야.정 정치협상회의와는 별개의 문제라며 분명한 선을 그으면서 오히려 책임자 문책 및 대통령 사과를 요구하는 한편 이재정(李在禎) 통일장관 후보자, 송민순(宋旻淳) 외교장관 후보자, 정연주(鄭淵珠) KBS 사장 인사도 백지화하라며 대여 공세의 고삐를 더욱 죄는 모습을 보였다.
한나라당의 강공은 청와대가 사실상 `레임덕'에 들어갔다는 판단과 함께 여당 지도부의 청와대 만찬 거부 등 당.청 간에도 심각한 파열음이 터져 나오고 있는 상황을 십분 활용, 정국의 주도권을 확실하게 잡아 나가겠다는 심산으로 보인다.
아울러 노 대통령이 헌정 사상 처음으로 헌재소장 임명동의안을 자진 철회해 스스로 `인사오류'를 자인한 만큼 그 약점을 물고 늘어져 다른 `소득'도 얻어내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강재섭(姜在涉) 대표는 이날 전 후보자 임명동의안 철회 소식을 전해 듣고 "당연한 일이다. 다른 인사권도 그렇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나경원(羅卿瑗) 대변인이 전했다.
한나라당이 `부적격 인사'로 지목한 인사들의 지명 내지 임명 철회를 공개 요구한 것이다.
김형오(金炯旿) 원내대표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진작 (철회)했어야 하는 것을 청와대가 사람 하나만 어렵게 만들고 명예도 추락시켰다"며 "청와대는 앞으로 이재정 통일장관 후보자, 정연주 KBS 사장 문제 등 이런 것에 대해서도 명확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어 정치협상회의에 대한 입장변화 가능성에 대해 "그것은 안된다"고 일축했다. 나 대변인도 "전효숙 인사 문제는 정치협상회의와는 별개의 문제"라며 못박았다.
주호영(朱豪英) 공보부대표도 "전 후보자 지명 철회로 약간의 상황변화가 있는 것은 맞지만 큰 의미는 없다. 전효숙 한 사람만으로는 우리의 입장을 꺾기는 어렵다"며 "청와대는 이번 사태를 야기한 책임자를 문책하고 노 대통령은 국민 앞에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마디로 전효숙 카드는 이미 사석'(死石.바둑에서 죽은 돌)이 된 카드였던 만큼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인 셈이다. 한나라당은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청와대가 설령 나머지 부적격 인사들에 대해서도 추가 조치를 취한다고 해도 계류법안 협상 등 그 이후의 문제는 여야가 나서서 해결할 문제이지 청와대가 개입할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마디로 지금 당장의 교착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청와대와 협상에 나서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것. 당 일각에서는 "민생을 외면한다"는 비판을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청와대가 한 발짝 물러선 만큼 한나라당도 한 발짝 양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강경론'에 밀려 세를 얻기는 힘들지 않겠냐는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다만 정치협상회의에는 응하지 않더라도 국방개혁법안과 사법개혁법안 등 계류법안의 처리를 위한 여야 협상 가능성은 열려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주호영 공보부대표는 "쟁점법안들이야 여야 간에 협의가 가능한 것 아니냐"며 "다만 여야가 서로 주장하는 법안들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협의가 어떻게 진행될지는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주호영(朱豪英) 공보부대표도 "전 후보자 지명 철회로 약간의 상황변화가 있는 것은 맞지만 큰 의미는 없다. 전효숙 한 사람만으로는 우리의 입장을 꺾기는 어렵다"며 "청와대는 이번 사태를 야기한 책임자를 문책하고 노 대통령은 국민 앞에 정중히 사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마디로 전효숙 카드는 이미 사석'(死石.바둑에서 죽은 돌)이 된 카드였던 만큼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주장인 셈이다. 한나라당은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청와대가 설령 나머지 부적격 인사들에 대해서도 추가 조치를 취한다고 해도 계류법안 협상 등 그 이후의 문제는 여야가 나서서 해결할 문제이지 청와대가 개입할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이다. 한마디로 지금 당장의 교착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청와대와 협상에 나서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것. 당 일각에서는 "민생을 외면한다"는 비판을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 속에 청와대가 한 발짝 물러선 만큼 한나라당도 한 발짝 양보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이 나오고 있으나 `강경론'에 밀려 세를 얻기는 힘들지 않겠냐는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다만 정치협상회의에는 응하지 않더라도 국방개혁법안과 사법개혁법안 등 계류법안의 처리를 위한 여야 협상 가능성은 열려 있는 것으로 관측된다. 주호영 공보부대표는 "쟁점법안들이야 여야 간에 협의가 가능한 것 아니냐"며 "다만 여야가 서로 주장하는 법안들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협의가 어떻게 진행될지는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심인성 기자 sims@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