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열차페리’ 개념도
박근혜 “정책 제안일뿐”
당안팎 ‘서해안 표심 잡기’
당안팎 ‘서해안 표심 잡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중국을 방문중이던 지난달 27일 내놓은 ‘열차페리’ 구상의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 안팎에선 그가 경쟁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에 맞서 본격적인 대권 행보를 시작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그동안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내놓지 않았던 박 전 대표가 처음으로 내놓은 정책이 기차를 배에 실어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열차 페리’라는 사실은, 여러 측면에서 이 전 시장의 ‘한반도 대운하’ 구상과 경쟁관계로 읽히고 있다.
박 전 대표 쪽에서도 ‘열차 페리’가 이 전 시장의 ‘한반도 대운하’에 견줘 스케일은 훨씬 큰 반면 현실성은 더 높다는 점을 강조한다. 또 ‘한반도 대운하’는 지역 경제활성화 측면이 있지만, △17조원(경부운하, 이 전 시장 쪽 주장)의 엄청난 건설비용 △환경파괴 △경제성 △풍수지리 등 각종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이에 견줘 박 전 대표 쪽은 ‘열차 페리’가 기존의 중국 횡단철도(TCR)와 연결만 하면 되는 것이고, 또 한달 전 중국 옌타이항~다롄항 구간 시험운행으로 이미 구체적인 사례가 있어 ‘현실성’이 높다는 점을 부각시키려 한다.
박 전 대표는 “인천항 개·보수 등 100억원이면 된다”며 실현가능성에 자신감을 보였다. 중국 방문에 동행한 김재원 의원도 “서양에선 1850년대부터 시작돼 현재 25개국에서 31개 노선이 운행중인데다, 지엠대우 등 5개 기업에서 한~중 열차페리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며 “정부가 의지를 갖고 협정만 잘 맺으면 어렵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중국과 연결할 지역으로 꼽히는 인천, 평택, 군산, 목포 등 서해안 지역이 한나라당과 박 전 대표가 열세인 지역이라는 점에서 ‘열차 페리’가 강력한 ‘지역 공약’이 될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그러나 ‘열차 페리’가 인천시 등에서 추진중인데다, 구체적인 방안이 부족한 점 등을 들어 이미 추진중인 정책에 ‘숟가락을 얹어’ 이 전 시장을 손쉽게 견제하려는 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