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역 장성 모임인 ‘성우회’ 안병태 부회장(오른쪽)이 22일 오후 향군회관에서 열린 긴급 회동에 앞서 전날 노무현 대통령의 ‘전시작통권’ 관련 발언이 실린 신문을 보고 있다. 연합뉴스
성우회 “중대발언” 대책 논의
전시 작전통제권(전작권) 논란과 관련해 전직 국방장관 등을 비난했던 노무현 대통령의 21일 발언에 대해 예비역 장성들의 모임인 성우회는 22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사무실에서 긴급 회장단 회동을 하고 대책을 논의했다.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김상태 성우회장은 이날 회의에서 노 대통령의 언급을 ‘중대 발언’이라고 규정한 뒤 “역대 국방장관을 비롯한 군 원로들은 국가안보를 위해 한평생을 바친 분들인데, 대통령 말씀에 나 역시 착잡한 마음으로 밤잠을 자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미연합사령관은 비록 미국사람이지만 우리 대통령의 부하라고 생각해야 하고, 그(한미연합사령관)가 마음대로 전쟁을 할 수도 없다”고 주장했다.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을 역임한 정진태 부회장은 “우리는 지난 30여년간 산업화와 정치발전, 이를 바탕으로 민주화를 이뤘다”며 “앞으로도 한-미 동맹을 바탕으로 이뤄야 할 중차대한 과제가 많은데 우리를 도와준 동맹국을 매도해도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 대통령이 병사들의 복무를 ‘군대에 가서 몇년씩 썩히지 말고…’라고 언급한 것에 대해 이정린(전 국방차관) 성우회 정책위의장은 “대통령의 깊은 뜻이 있겠지만 신성한 국방의 의무를 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섭섭하게 느끼지 않았을까 우려된다”며 “군의 사기가 떨어지지 않도록 (청와대) 보좌관 등 그런 분들이 추가적인 조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국방연구원장을 지낸 송선용 사무총장도 “국민들로부터 오해를 살 수 있는 만큼 역대 국방장관과 각군 총장 등의 의견을 모아 거기(발언)에 대한 해명을 하도록 준비할 것”이라며 사실상 청와대 쪽의 해명을 요구했다. 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