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 노회찬(魯會燦) 의원은 10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개헌 제안이 무산될 경우와 관련, "노 대통령이 임기를 다 마치지 않는, 자신의 거취 문제가 가장 강력한 카드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노 의원은 이날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이몽룡입니다'에 출연해 이같이 말하고 "사임할 지 모른다라는 가능성 자체가 큰 무기가 되므로 대통령은 그 카드를 버리지 않고 활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대통령이) 설사 사임하지 않더라도 '그만 둘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갖고 정국의 주도권을 확보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헌이 한나라당 등의 반대로 성사될 수 없다는 것은 대통령이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그럼에도 이를 추진하는 것은 개헌이 성사되지 않아도 개헌이란 화두를 갖고 정국 주도권을 쥐고, 특히 여권발 정계개편의 주도력을 확보해 대통령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계개편을 하겠다는 목표가 분명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 대통령이 20년만에 대선과 총선 시기를 일치시킬 기회가 돌아왔다고 강조한 데 대해 "20년 후에나 가능하다는 설명은 사실과 전혀 다른 말씀"이라면서 "내년이나 내후년에 개헌을 하더라도 2012년에는 4월에 총선, 12월에 대선이 같은 해에 치러진다. 그러면 차기 정권에서 4년제 개헌을 하면 2016년부터는 계속 같은 해에 두 개의 선거가 치러진다"고 설명했다.
적절한 개헌 시기 및 방식과 관련, 노 의원은 "이번 대선에서 각당 후보들이 헌법이 어떤 방향으로, 언제쯤 고쳐져야 한다는 것을 공약으로 내걸어야 한다"며 "그런 속에서 국민 합의가 이뤄지고 의견을 수렴해 차기 정부에서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갖고 개헌한다면 총선, 대선 시기가 어긋나는 등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21세기 우리 국력과 국민 수준에 걸맞은 헌법으로 개정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승우 기자 leslie@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