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 밝혀…“이유는 말하기 곤란”
참여정부 초기에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 직전까지 갔다가 무산됐다고 김대중 전 대통령이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5일 방송될 <문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 ‘시선 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내가 알기로 노무현 정권이 시작됐을 때 남북 간에 정상회담이 일단 합의가 돼가던 시기가 있었다. 얘기가 거의 다 됐다가 중단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되지 않았던 이유를 두고 김 전 대통령은 “그건 내가 말하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미국이 변수로 작용해 무산된 것 아니냐’는 질문엔, “더 이상 깊이는 못 들어 잘 모른다”며 확인도 부인도 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관계자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참여정부 초기 남북 간에 대북특사 파견 얘기가 오가다가 최종적으로 무산됐다. 김 전 대통령이 그것을 정상회담 합의 수순으로 해석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또 자신의 재임 당시 러시아 쪽 제안으로 이르쿠츠크에서 김대중 대통령,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3자 정상회담 방안이 논의됐으나 역시 무산됐던 사실도 확인했다. 김 전 대통령은 “(북한이) 이르쿠츠크에서 푸틴 대통령과 같이 하면 어떻겠느냐고 타진해 온 적이 있다”며 “내가 ‘김정일 위원장이 남쪽으로 내려와야 하며, 서울 못 오면 제주도나 휴전선, 개성 가까이라도 와서 해야 한다’며 거절해서 진전이 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김 전 대통령은 “표면적으로 지도자들이 말한 것과는 별도로 남북 정상회담은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고 또 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