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어도 6월안 이뤄져야…‘주도권 싸움’ 진통 예고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은 의원들의 집단 탈당이 이뤄진 지난 6일, “탈당이라는 강물이 대통합이라는 바다에서 만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 말을 두고, 한나라당에선 탈당을 ‘위장이혼’이라고 비판했다. 언젠가는 다시 만날 것을 전제로 한다는 것이다. 탈당한 이들도, 당에 남은 이들도 재결합을 희망적으로 이야기한다.
정치 공학적으로 이야기하자면, 통합은 늦어도 6월 이전에는 이뤄져야 한다. 12월 대선을 치르려면 10월 정기국회 이전에 대선 후보를 뽑아야 한다. 전국을 돌며 ‘완전 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방식으로 후보를 뽑으려면 두달 정도 걸린다. 결국 7월께에는 경선을 시작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탈당파인 ‘통합신당모임’의 전략기획을 담당하고 있는 이강래 의원은 “5월 중에는 대통합신당을 만들어야 이런 정치 일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도 2·14 전당대회 이후 4개월 이내에 통합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현실은 만만치 않다. 당장 정세균 열린우리당 의장은 지난 14일 전당대회 직후 기자회견에서 “헤어지긴 쉽지만 통합은 쉽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정창교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수석전문위원은 “주도권과 기득권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열린우리당과 통합신당모임 그리고 민생정치모임으로 나뉜 범여권 의원들은 대통합신당의 주도권을 쥐려는 신경전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2004년 탄핵 폭풍 속에서도 당선된 민주당 지역구 의원들이 뛰쳐나오길 기대하기는 더욱 어렵다.
결국 통합의 성패는 경쟁력 있는 외부 후보의 영입 여부에 달려 있다. 그래야 12월 대선 승리의 비전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외부 후보들이 신당 참여를 시사하는 시점이 사실상 통합의 시작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통합의 주도권도 참신한 외부세력을 좀더 많이 끌어들이는 세력이 쥐게 된다. 외부의 유력 후보군 인사들이 참여하지 않는다면, 갈라진 지금의 구도가 그대로 굳어질 수도 있다. 여권으로선 최악의 시나리오다. 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