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러 필두 한·중-중·일…
북핵 넘어 평화체제 논의...남북 정상회담 성사 촉각
북핵 넘어 평화체제 논의...남북 정상회담 성사 촉각
동북아에 정상회담의 봄 기운이 돌고 있다. 중국과 러시아를 시작으로 한국과 중국, 중국과 일본, 미국과 일본의 정상회담이 다음달 내내 이어진다. 북핵 문제의 진전에 맞춰 남북 정상회담 논의가 점쳐지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논의를 위한 남북과 미국·중국의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도는 상황에서 펼쳐지는 ‘동북아 정상외교의 서막’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외교일정이 이런 흐름의 어디엔가 잡혀 있을 가능성도 있다.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은 26~28일 러시아를 방문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연다. 후 주석의 이번 방문은 두 나라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재확인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의 동북아 정세 변화에 대한 공동전략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최근 일본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안보협력 선언을 계기로 미국을 축으로 한 3각 군사체제가 현실화하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노무현 대통령은 다음달 10~11일 원자바오 중국 총리를 맞는다. 2·13 합의에 따른 초기단계 조처 이후 북핵 해법이 핵심 의제로 오른다. 북한의 핵 폐기 이행과 남북 관계 진전에 맞춰 이번 한-중 정상회담은 북핵을 넘어 한-중-일 관계 등 전반적인 한반도 문제를 시야에 담을 것으로 보인다. 원 총리는 이어 11~13일 일본을 방문해 아베 신조 총리와 만난다. 중국 총리의 방일은 2000년 10월 이후 7년 만이다. 두 나라는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역사·영토 문제에서 봉합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 총리는 애초 9~15일 일본을 방문하려 했으나 위안부 문제가 불거지면서 일정을 단축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북핵 문제를 비롯해 동북아 평화 체제 구축 과정에서 일본의 적극 참여를 기대하고 있다.
이런 숨가쁜 동북아 정상외교는 북핵 문제에 대한 입체적 접근법과 함께 한반도 정세가 입체적으로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북한의 핵 폐기와 북-미, 북-일 관계정상화,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 동북아 다자안보체제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포럼 설치 등 6자 회담의 틀이 정상외교 차원으로 확대되면서 큰 틀에서의 ‘동북아 설계도’가 요구되고 있는 형국이다.
한쪽에서는 북한의 핵 폐기 이정표가 구체화하는 시점과 맞물려 한국전의 당사자인 남북과 미국·중국 정상이 동북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머리를 맞대는 상황을 상정하기도 한다. 그만큼 연쇄 정상외교에 거는 관심과 기대가 크다.
베이징/유강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