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오후 서울 여의도 63빌딩의 한 식당에서 만난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가운데)과 김한길(왼쪽)·박상천(오른쪽) 통합민주당 공동대표가 사진기자들을 향해 포즈를 취하며 웃고 있다. 이들은 범여권 통합 문제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co.kr
열린우리와 합당 등 난제 많아
열린우리당 탈당 그룹이 중심이 된 범여권 대통합파가 오는 25일 신당 창당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들의 구상에 동의하는 중도통합민주당(통합민주당) 일부가 탈당 등 ‘행동’에 나설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 창당 로드맵 실현될까?=열린우리당 탈당 그룹은 5일 국회에서 워크숍을 열어, 이달 25일 신당 창당을 위한 로드맵을 논의했다. 시민사회세력인 미래창조연대가 8일 창당 발기인대회를 하고 나면, 15일 이전까지 미래창조연대와 탈당 그룹, 손학규 전 경기지사 쪽의 선진평화연대를 한데 묶어 공동 창당준비위원회를 만든다는 구상이다.
통합민주당내 대통합파 일부도 이런 구상에 동참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효석 의원은 이날 박상천·김한길 공동대표를 만나 “대통합신당을 위해 제3지대에서 창당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는 뜻을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탈당 그룹은, 신당 창당을 전후해 열린우리당이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신당과의 합당을 결의하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중이다. 열린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25일 오전 열린우리당 임시 전대를 열고 오후에 신당 창당대회를 열면 된다. 이를 위해 장소를 예약해둔 상태”라고 말했다.
통합민주당의 대통합 참여 여부도 변수다.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과 통합민주당 박상천, 김한길 대표는 5일 회동을 갖고 중도개혁 대통합 신당을 추진한다는 데 의견일치를 봤다고 양쪽이 발표했다. 추석 전에 국민경선이 종료하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데도 합의했다. ‘중도개혁’의 정책과 노선을 매개로 한 원론적인 합의이긴 하지만, 전체 대통합 논의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탈당 그룹 내부의 열린우리당과의 당 대 당 통합 문제 등에 대한 이견, 열린우리당 내 친노 세력의 반발 여부 등도 변수다. 이런 변수들 때문에 창당 준비위가 ‘실질적인’ 대통합신당으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하다.
■ ‘500만명 모바일 투표’ 가능할까?=만약 이런 대통합신당 로드맵이 실현된다면, 범여권은 본격적인 국민경선 체제로 돌입하게 된다. 국민경선추진협의회(국경추)는 신당 창당 직후 국민경선에 참여할 당원·국민 선거인단 모집을 시작하고, 8월 예비경선(컷오프)을 거쳐 9월 중순부터 한 달 동안 국민경선을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국경추는 기존의 ‘체육관 선거’ 말고도, 각 시·군·구에 투표소를 설치하는 한편, 휴대전화와 인터넷을 이용한 ‘모바일 투표’의 실시 여부도 신중히 검토하고 있다. 미래창조연대는 이날 국회에서 모바일 투표 시연회를 열고, 이를 통해 경선 참여를 500만명까지 늘리자고 제안했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또는 음성(ARS)을 이용해 투표하게 함으로써 참여를 유도하자는 것이다. 이목희 의원은 “모바일 투표를 실시하면 경선 열기를 끌어올리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그러나 선관위가 관리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보인데다, 대리투표 가능성 등 검토해야 할 사안이 많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대통합파가 추진하는 대선 로드맵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