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처남 김재정씨와 큰형 이상은씨가 1995년 포스코개발에 판 서울 도곡동 땅. 현재 17층 아파트가 들어서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이명박 “263억에 팔아”…포스코 “280억에 사”
차액 비자금 빼돌렸거나 양도세 탈루 의혹 제기
차액 비자금 빼돌렸거나 양도세 탈루 의혹 제기
감사원의 1998년 감사보고서로 드러난 포스코개발(현 포스코건설)의 도곡동 땅 매입 과정을 보면 새로운 의문점들이 발견된다.
먼저 도곡동 163번지 일대 땅 7357㎡(2225평)의 매매가격 부분이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 쪽은 이상은씨와 김재정씨가 도곡동 땅을 263억원에 팔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감사원 보고서에는 매입대금이 280억3700만원으로 돼 있다. 17억3700만원이나 차이가 난다.
따라서 이 차액의 행방이 의문으로 남는다. 우선 땅을 사준 포스코 쪽에 넘겨져 비자금으로 조성된 게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땅을 매입하는 대신 누군가가 그 대가로 이 차액을 받은 게 아니냐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실제 거래가액보다 가격을 낮춘 이른바 ‘다운계약서’를 따로 작성해, 매도자 쪽이 양도소득세를 일부 탈루했을 가능성도 있다. 이에 대해 포스코건설 쪽은 “그 땅의 거래가액은 263억원이 맞다”며 “감사원 자료는 추가로 매입한 공유지 값을 더한 것 같다”고 밝혔다.
또 하나의 의문점은 당시 포스코개발이 도곡동 땅을 매입하는 데 근거가 된 사업분석 보고서의 오류다. 감사원 자료를 보면, 95년 2월 포스코개발 직원 2명이 개발사업본부장으로부터 업무용 빌딩 건설사업 검토 지시를 받고, 같은해 4월 도곡동 업무시설 개발계획 보고서를 제출한다. 사업 계획은 지상 16층에 지하 6층의 건물을 짓는 데 사업비는 1018억원, 최종 이익은 29억원으로 추정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은 당시 토지이용 여건으로는 적자가 나는 사업이라는 결론이 나와야 하는데도, 반대로 이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서가 작성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당시 포스코개발의 실무자들이 1천억원 규모의 사업을 검토하면서 감사원 감사에서 발견될 정도의 오류를 실수로 저질렀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결국 당시 모기업인 포철이나 포스코개발의 핵심 경영진에서 도곡동 땅을 사기로 결정한 뒤 실무자들에게 사업수지를 짜맞추도록 보고서를 작성하도록 한 게 아니냐는 의문이 제기된다.
최종훈 기자 cjh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