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팀’ 운영 관련 직원 소환 …수사 장기화될 듯
한나라당이 국가정보원의 ‘이명박 태스크포스팀’ 운용 의혹을 제기하며 김승규, 김만복 전·현직 국정원장 등을 수사의뢰한 지 일주일 만인 25일 검찰이 국정원 직원을 소환하는 등 본격 수사에 나섰다. 이에 따라 지난 2005년 ‘도청 녹취록(엑스파일) 사건’에 이어 국정원이 또다시 검찰의 강도높은 수사를 받게 될지에 관심이 모아진다.
검찰은 지난 10일 국정원 직원이 이 후보 가족의 부동산 내역을 조회한 사실이 알려졌을 때만 해도 국정원에 대한 언급 자체를 꺼렸다. 김홍일 서울중앙지검 3차장검사는 “행자부 접속 자료를 분석해보면 누가 조회했는지 알 수 있다. 국정원에 따로 수사협조를 요청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검찰은 행자부 접속 내역을 모두 분석한 결과 국정원을 제외한 다른 기관들의 조회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된 뒤 국정원에 자체 감찰 자료 제출을 요청하는 등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검찰의 이런 태도는 국가 정보기관 수사에 대한 부담감 때문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검찰 관계자는 “국정원도 국가 기능 중 일부를 수행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의혹은 의혹대로 밝히되, 기관 고유의 기능을 훼손시켜서는 안되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이 수사의뢰한 사건이 이 후보 검증 관련 고소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부장 최재경)에 배당된 뒤론 검찰 안에서 ‘원칙대로 할 수밖에 없다’는 의견이 많아졌다. 이 후보와 관련된 의혹 규명을 위해 도곡동 땅 등에 대한 강도높은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마당에, 국정원에 대한 수사를 허술하게 할 수는 없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지난주 수사팀에 검사 2명이 추가 투입된 것도 이를 염두에 둔 조처로 알려졌다.
검찰 안팎에서는 수사의 어려움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검찰이 2005년 엑스파일 사건 수사를 성공리에 마친 경험이 있지만, 당시에는 국정원 스스로 도·감청을 시인한 뒤 검찰 수사를 받겠다고 나선 경우로 ‘이명박 태스크포스팀’ 존재 자체를 부인하고 있는 이번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국정원 수사는 이 후보 검증 관련 다른 사건들과는 분리돼 시간을 두고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대검 관계자는 “이 후보 고소 사건 수사는 국민들에게 제대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한 것으로 한나라당 경선 전까지 수사를 끝내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지만, 국정원 수사는 이와는 달라 경선 뒤에도 수사가 진행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