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부성 검정통과 ‥ 후소사 “한국이 불법점유”
외교부 “과거잘못 미화유감”강력항의키로
일본 우익단체인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이 쓴 후소사 역사 교과서가 일제의 식민 지배를 정당화하는 왜곡 부분을 바로잡지 않은 채 5일 일본 문부과학성의 검정을 통과했다. 또 독도 사진을 싣거나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기술이 실린 후소사와 도쿄서적, 오사카서적의 공민(사회) 교과서도 검정을 통과해, 독도 문제에서는 ‘개악’이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한·중·일 공동의 역사 교과서 부교재를 펴낸 ‘아시아 평화와 역사교육연대’(상임공동대표 서중석)와 일본의 ‘어린이와 교과서 네트워크 21’ 등 15개 시민단체는 이날 서울과 도쿄에서 각각 기자회견을 열어, 역사 바로세우기를 향한 본격적인 한중-일 시민연대를 선언했다. 이들은 일본 문부성의 검정 결과를 비판하고, 문제의 교과서 채택 반대 운동을 강력히 펼쳐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내년부터 일본 중학교에서 쓰일 역사와 공민 교과서 각각 8종에 대한 일본 문부성의 검정 결과를 보면, 후소사 역사 교과서의 경우 신라·백제·고구려의 조공설을 삭제하는 등 신청본에 견줘 8개 항목에서 개선이 이뤄졌다. 그러나 “조선 근대화와 일본” 항목을 신설하는 등 5개 항목에선 개악된 것으로 평가됐다. 후소사 공민 교과서에선 독도 사진이 실렸으며, 신청본에서 “한국과 영유권을 놓고 대립하는 다케시마”란 사진 설명도 검정 과정에서 “한국이 불법 점유하고 있는 다케시마”로 개악됐다. 또 교과서 채택 점유율에서 50% 이상을 차지하는 도쿄서적과 오사카서적의 공민 교과서는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내용을 담았으며, 일본서적신사의 지리교과서도 독도 주변을 일본 영해로 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외교통상부는 대변인 성명을 내어, “일본 중학교 교과서 가운데 일부가 여전히 과거의 잘못을 합리화하고 미화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데 대해 유감을 표시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성명은 “적지 않은 교과서들이 한일 합병의 강제성과 한국민의 저항 사실을 포함하는 등 객관적 기술을 지향하고 있는 점에 유의한다”고 덧붙였다. 성명은 이어 “정부는 이런 점이 일본의 양식 있는 지성과 시민들의 역사의식과 맞닿아 있다고 보며, 교과서 채택 과정에서 일본 국민들의 양식이 거듭 확인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6일 다카노 도시유키 주한 일본대사를 외교부로 부르고, 나종일 주일 한국대사를 일본 외무성에 보내 강력한 항의 뜻을 전하는 등 추가 조처를 취할 예정이다. 아시아평화와 역사교육연대도 이날 서울 중구 한국언론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후소사 역사 교과서의 검정 통과를 규탄하는 한-중-일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역사를 왜곡하고 전쟁을 찬미하며 헌법 개정을 통해 국제사회에서 고립화의 길로 나아가려는 ‘위험한 교과서’가 아이들 손에 전해지는 것을 결코 용서할 수 없다”며 불채택 운동을 촉구했다. 어린이와 교과서 네트워크 21 등 일본의 15개 시민단체도 도쿄 시내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후소사 교과서 채택 반대운동을 강력히 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6·15 공동선언 실천을 위한 남북해외 공동행사준비위원회’도 이날 서울과 평양, 도쿄 등 세 곳에서 동시에 낸 공동성명에서 역사왜곡을 비판했다. 유강문 황상철 이호을 기자, 도쿄/박중언 특파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