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다룬 출판사들 불이익 우려 수정 검토
정부, 일본대사에 삭제요구등 강력대응
고이즈미 “양국간 우호문제 고려해야” 일본 공민교과서의 독도 영유권 부분 왜곡에 일본 문부과학성이 직간접적으로 개입했음이 드러남에 따라, 정부가 관련 기술의 삭제를 일본에 요구하는 등 강력히 대응하고 나섰다. 또 독도 문제를 담지 않았던 다른 교과서들도 독도에 대한 기술을 포함시킬 것으로 전해져, 한-일 관계가 심각한 긴장 국면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해찬 국무총리는 6일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현재까지의 상황에 비춰 일본 정부가 독도로 정면승부 하겠다는 의도를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며 “일본의 극우적 보수주의의 발호에 대한 장기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태식 외교통상부 차관은 이날 오후 다카노 도시유키 주한 일본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지난 5일 검정을 통과한 후소사와 도쿄서적 등의 공민교과서에 실린 독도 영유권 관련 기술을 즉시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이 차관은 또 일부 공민교과서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이를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이규형 외교부 대변인이 전했다. 이 차관은 이어 공민교과서의 독도 영유권 부분 기술 내용 변경에 일본 문부성이 일정 부분 구실을 하고 관여한 것으로 보이는 점에 대해 설명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카노 대사는 이에 “교과서 기술은 출판사의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정부는 권한이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날 오후 나종일 주일 한국대사가 일본 외무성을 방문해 강한 항의의 뜻을 전했다. 일본 언론과 교과서 집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후소사와 도쿄·오사카서적이 낸 공민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은 문부과학성의 검정 의견에 따라 수정되거나 추가된 것으로 드러났다.
<아사히신문>은 6일치 사설에서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이 만든 공민교과서의 독도에 대한 기술이 ‘개악’된 것은 “정부 견해대로 표현하지 않으면 합격시키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새역모 회장인 야기 히데쓰구 다카사키경제대학 조교수도 “(문부성의) 검정의견을 받아 정부 견해대로 표현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검정 과정에서 “(독도의) 영유권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다”는 검정 의견을 붙여, 내용 수정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쿄서적과 오사카서적도 공민교과서에 독도 기술을 새로 넣은 데 대해 “자체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경위 설명이 석연치 않아 문부성의 개입 의혹을 낳고 있다. 또 독도를 다루지 않았던 다른 공민교과서의 출판사들도 채택 과정에서의 불이익을 우려해, 자체 수정을 거쳐 독도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정 신청을 낼 예정인 한 출판사 관계자는 “다른 출판사의 책에 실려 있는데 다루지 않으면 채택 단계에서 배척당할 수 있다”며 “지금 정세로 봐서는 북한의 일본인 납치와 영토 문제가 포인트”라고 말했다. 한편,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6일 교과서 검정 결과와 독도 문제에 대한 한국의 반발과 관련해, “우리는 독도 문제에 대해 상이한 의견을 갖고 있으나 양국간 우호라는 더 큰 문제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양국이 경제, 문화, 스포츠 등 모든 분야에서 교류를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독도 문제로 인해 양국간 교류를 중단하거나 상대방과 대결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이렇게 말했다. 유강문 기자, 도쿄/박중언 특파원 moon@hani.co.kr
정부, 일본대사에 삭제요구등 강력대응
고이즈미 “양국간 우호문제 고려해야” 일본 공민교과서의 독도 영유권 부분 왜곡에 일본 문부과학성이 직간접적으로 개입했음이 드러남에 따라, 정부가 관련 기술의 삭제를 일본에 요구하는 등 강력히 대응하고 나섰다. 또 독도 문제를 담지 않았던 다른 교과서들도 독도에 대한 기술을 포함시킬 것으로 전해져, 한-일 관계가 심각한 긴장 국면으로 치달을 가능성이 커졌다. 이해찬 국무총리는 6일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현재까지의 상황에 비춰 일본 정부가 독도로 정면승부 하겠다는 의도를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며 “일본의 극우적 보수주의의 발호에 대한 장기전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태식 외교통상부 차관은 이날 오후 다카노 도시유키 주한 일본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지난 5일 검정을 통과한 후소사와 도쿄서적 등의 공민교과서에 실린 독도 영유권 관련 기술을 즉시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이 차관은 또 일부 공민교과서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데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이를 결코 용납할 수 없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이규형 외교부 대변인이 전했다. 이 차관은 이어 공민교과서의 독도 영유권 부분 기술 내용 변경에 일본 문부성이 일정 부분 구실을 하고 관여한 것으로 보이는 점에 대해 설명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다카노 대사는 이에 “교과서 기술은 출판사의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정부는 권한이 없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날 오후 나종일 주일 한국대사가 일본 외무성을 방문해 강한 항의의 뜻을 전했다. 일본 언론과 교과서 집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후소사와 도쿄·오사카서적이 낸 공민교과서의 독도 관련 내용은 문부과학성의 검정 의견에 따라 수정되거나 추가된 것으로 드러났다.
<아사히신문>은 6일치 사설에서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새역모)이 만든 공민교과서의 독도에 대한 기술이 ‘개악’된 것은 “정부 견해대로 표현하지 않으면 합격시키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새역모 회장인 야기 히데쓰구 다카사키경제대학 조교수도 “(문부성의) 검정의견을 받아 정부 견해대로 표현했을 뿐”이라고 말했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검정 과정에서 “(독도의) 영유권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다”는 검정 의견을 붙여, 내용 수정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쿄서적과 오사카서적도 공민교과서에 독도 기술을 새로 넣은 데 대해 “자체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주장했으나, 경위 설명이 석연치 않아 문부성의 개입 의혹을 낳고 있다. 또 독도를 다루지 않았던 다른 공민교과서의 출판사들도 채택 과정에서의 불이익을 우려해, 자체 수정을 거쳐 독도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키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정 신청을 낼 예정인 한 출판사 관계자는 “다른 출판사의 책에 실려 있는데 다루지 않으면 채택 단계에서 배척당할 수 있다”며 “지금 정세로 봐서는 북한의 일본인 납치와 영토 문제가 포인트”라고 말했다. 한편,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는 6일 교과서 검정 결과와 독도 문제에 대한 한국의 반발과 관련해, “우리는 독도 문제에 대해 상이한 의견을 갖고 있으나 양국간 우호라는 더 큰 문제를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양국이 경제, 문화, 스포츠 등 모든 분야에서 교류를 확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독도 문제로 인해 양국간 교류를 중단하거나 상대방과 대결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이렇게 말했다. 유강문 기자, 도쿄/박중언 특파원 moo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