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민련이 당 깃발을 내리고 심대평 충남지사가 추진 중인 이른바 ‘중부권 신당’에 합류하는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김학원 자민련 대표도 10일 ‘자민련 해체’를 언급했다. 지난 1995년 자민련이 창당된 뒤 꼭 10년만이다.
김 대표는 이날 <한겨레>와 통화에서 “당이 찢어지는 데 대한 충청인들의 질타와 통탄의 목소리가 크다”며 “통합을 위해 자민련을 발전적으로 해체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7일엔 자민련의 류근찬·김낙성 의원이 인천국제공항을 찾아가, 행사 참석을 위해 미국으로 떠나는 심 지사에게 △통합신당 추진 △자민련의 발전적 해체 △4·30 재·보궐선거 후보 단일화 등 3개 항의 문건을 제시하며 합류 의사를 타진했다. 심 지사는 이에 원칙적인 동감을 표시하면서도, 오는 15일 귀국한 뒤 김학원 대표와 만나 최종 결론을 내리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김낙성 의원이 전했다.
자민련이 ‘당 해체’라는 극약처방까지 꺼내든 것은 것은 당내 사정이 그만큼 절박했기 때문이다. 심 지사의 탈당 이후 현역 의원 4명 가운데 김 대표를 제외한 3명이 심 지사 쪽과의 통합으로 방향을 잡았고, 이 때문에 김 대표는 ‘고립무원’의 처지에 빠졌다. 특히 류근찬 의원은 탈당 의사까지 내비치며 김 대표를 압박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달 8일 탈당을 결행한 심 지사 쪽 역시 ‘진퇴양난’의 힘겨운 상황이었다. 핵심 측근인 이명수 전 충남부지사가 4·30 재선거의 충남 아산 열린우리당 후보로 발길을 돌리면서, 신당 추진 동력이 크게 소진됐다.
하지만 심 지사 쪽은 자민련과의 통합을 마냥 반길 수만은 없는 처지이다. ‘도로 자민련’이라는 비아냥을 받으면서 신당 창당의 명분과 의미가 반감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자민련과 심 지사 쪽은 일단 오는 30일 치러지는 충남 공주·연기와 아산 지역 재선거에서 공조한 뒤 구체적인 통합 논의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6s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