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으로 삐걱거리는 한·중·일 협력체제를 복원하기 위한 한·중·일 3자 위원회가 다음달 6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다. 한·중·일은 이에 앞서 국장급 실무협의를 13∼14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 계획이다.
외교통상부 관계자는 10일 “2003년 10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한·중·일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한·중·일 3자 위원회를 다음달 도쿄에서 열리는 아셈(아시아-유럽정상회의) 외무장관 회의를 계기로 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국장급 실무협의를 이번주 중 베이징에서 열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중·일 외무장관급 3자 위원회와 국장급 실무협의에선 최근 첨예한 갈등 요인으로 떠오른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룰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한일이나 중일 양자관계로는 이런 문제를 풀기 힘들다”며 “동북아 차원의 협력체제 구축이라는 큰 틀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중·일 3자 위원회는 지난 2003년 ‘한·중·일 협력에 관한 공동선언’에서 제시한 협력 사업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각국 외무장관이 수석대표를 맡아 1년에 1차례 이상 열도록 돼 있다. 지난해 11월 라오스에서 열린 2차 3자 위원회에선 6자 회담을 통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방안 모색 등 16개항의 행동전략에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일련의 접촉에서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으로 인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돌파구를 열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한·중·일의 협력 수준이 역사 공동연구로 가기에는 미흡하다”며 “영유권 문제까지 끼여 진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말했다.6s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