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 정동영 후보 (왼쪽) 창조한국당 문국현 후보 (오른쪽)
재야 ‘9인위원회’ 역제안
범여권의 후보 단일화 해법이 다시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 후보와 문국현 창조한국당 후보 사이 협상 문제로 되돌아왔다.
양쪽의 단일화를 중재하기로 했던 ‘9인 시민위원회’는 5일 두 후보에게 단일화의 조건에 대한 이견을 최대한 좁혀 오라고 요구했다. 두 후보 진영은 이날 9인 위원회로부터 ‘단일화 추진 권한의 포괄적 위임’을 요구받고 ‘조건부 수용’ 뜻을 각각 전달한 바 있다.
재야 원로로 구성된 ‘7인 회의’로부터 중재 실무를 위임받은 9인 시민위원회의 윤준하 대표(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양쪽이 내세운 수용 조건에서 몇 가지 단일화의 시기 등 분명한 입장차가 확인됐다”며 “우리가 직접 개입해 활동할 만한 입지가 아직 확보되지 않았다고 보고, 당사자끼리 직접 만나서 견해차를 최대한 좁혀 올 것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 후보 선대본부의 정기남 공보특보는 “문 후보의 결단을 기대한다”며 문 후보 쪽을 압박했고, 문 후보 선대본부의 김갑수 대변인은 “5일 밤 회의를 거쳐 이르면 6일 오전 재야의 역제안에 대해 정리된 입장을 내놓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7인 회의의 위임을 받은 9인 시민위원회는 4일 밤 늦게 정동영·문국현 두 후보 쪽에 △단일화의 절차와 방법, 시기에 대해 양쪽 의견을 수렴하되 포괄적으로 (결정) 권한을 위임할 것 △공동 토론회의 주제와 방법·시기 등도 위임 대상에 포함시킬 것 △후보 단일화 시한을 16일 이전으로 앞당길 것 등을 요구했다. 9인 시민위원회는 7인 회의의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와 박영숙 전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장 등이 참여하고 있으며, 실무자 급으로 윤준하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와 최병모 전 민변 회장, 4개 종단(천주교·불교·원불교·기독교) 관계자 등 모두 9명이 참여하고 있다.
한편, 중앙선관위는 이날 정 후보 쪽에서 두 후보만 참석하는 공개 토론이 가능한지 유권해석을 요청받고, 이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강희철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