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28일 오후 대구 프린스호텔에서 열린 자유선진당(가칭) 대구시당 창당대회에서 주먹을 불끈 쥔 채 창당의 당위성을 역설하고 있다. 대구/연합뉴스
검찰, 이회창 차남·서정우 변호사 출국금지
이회창 쪽 “정치보복” 반발
이회창 쪽 “정치보복” 반발
검찰이 2002년 한나라당의 대선잔금과 관련해, 지난 25일 이회창 한나라당 전 총재의 둘째아들 수연(42)씨와 이 전 총재의 최측근인 서정우(65) 변호사를 출국금지한 것으로 27일 확인됐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지난해 12월 ‘이 전 총재가 대선자금 잔금으로 두 아들의 아파트를 사는 데 보탰다’는 기사를 쓴 <시사인> 기자를 이 전 총재 쪽에서 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 혐의로 고발한 것과 관련한 수사일 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4월 총선을 앞두고 자유선진당 창당을 준비하고 있는 이 전 총재 쪽은 이 총재의 정치 활동을 견제하기 위한 이명박 당선인 쪽의 정치 탄압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또 대선 당시 이 총재가 출마해 이 당선인을 불편하게 했던 데 대한 보복이 아니냐는 분석도 정치권에선 나오고 있다.
사건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수연씨의 친구인 정아무개씨는 2002년 11~12월 서 변호사의 부탁을 받고 삼성으로부터 받은 국민주택채권을 두 차례에 걸쳐 사들였다. 이 때문에 2004년 검찰 조사를 받기도 했던 정씨는, 최근 검찰이 자신을 다시 소환 조사하려 하자 중국으로 출국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해 12월 대선자금 수사 당시 서 변호사의 변호를 맡았던 이두아 변호사를 조사하기도 했다.
이날 자유선진당 대구시당 창당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대구를 방문한 이 전 총재는 기자 간담회에서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 이제 다시는 정치보복이나 탄압 같은 게 있으면 안 된다”며 “대선잔금 문제는 지난 대선자금 수사 때 충분히 조사됐고, 관계자 재판도 끝난 상황이다. 특히 지금은 창당을 며칠 앞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굳게 입을 다물면서도 ‘이회창 손보기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서는 ‘말도 안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서울중앙지검 신종대 2차장검사는 “<시사인> 관련 고발 사건의 확인에 필요한 범위 안에서 수사하고 있다. 대선자금 전반에 대해 수사하고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대검의 한 간부도 “그런 말이 나올 수 있지만, 대선자금 재수사를 통한 정치 보복은 아니다. 확대 해석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검찰이 고발인 쪽 관련자를 출금한 것은 통상적인 사건 처리 절차와는 다른 모습이다. 이에 따라 이 전 총재가 대선자금을 사적인 용도로 사용한 새로운 단서가 포착된 것이 아니냐는 말도 나오고 있다. 김남일 이유주현 기자 namfic@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