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금형도 공천신청’ 의견접근했지만…
이방호 총장 진퇴 둘러싼 갈등 일단 봉합
친이-친박 감정 격앙 ‘여진’ 계속될 가능성 한나라당이 4월9일 총선 공천을 둘러싸고 끝없는 계파간 권력투쟁의 소용돌이에 빠져들고 있다. ‘부패 전력자 공천신청 불허’ 당규를 둘러싼 갈등이 이명박 당선인 쪽과 박근혜 전 대표 쪽 사이의 전면 대결 양상으로 치닫자, 당 지도부는 벌금형 전력자도 공천 신청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기로 1일 의견을 모았다. 이로써 극한 대결은 일단 수습의 실마리를 찾았으나, 공천을 둘러싸고 양쪽의 불신이 극심한 상태라 대립은 언제든지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1일 이 당선인 쪽과 박근혜 전 대표 쪽간 공천갈등을 촉발시킨 ‘부패 전력자 공천신청 불허’ 당규를 탄력적으로 해석해, 벌금형 전력자도 공천 신청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당 지도부는 2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런 기준을 추인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벌금형 전력이 있는 박근혜 계보의 김무성 최고위원의 공천 신청이 가능하게 돼,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던 양쪽의 갈등은 한고비를 넘길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갈등의 와중에서 강재섭 대표와 박근혜계 의원들이 이방호 사무총장 퇴진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는 등 양쪽 감정이 악화된 상태라, 여진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박근혜 전 대표 진영의 의원·원외 당협위원장 70명은 이날 모임을 열고 이명박계인 이방호 사무총장의 즉각 퇴진과, 선거법 위반 전력이 있는 이재오·정두언 등 이명박 당선인 측근들의 공천 배제를 요구했다. 이들은 △선거법 사범도 공천자격 박탈 △하극상을 일으킨 이방호 사무총장 즉각 사퇴 △이명박 당선인의 조속한 사태 수습 등 3개항을 요구했다. 강재섭 대표도 이날 새벽 분당 자택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방호 총장 사퇴를 촉구했지만 이 총장은 사퇴를 거부했다.
사태가 확산되자 이명박 당선인 친형인 이상득 국회부의장이 나서, 강재섭 대표와 접촉해 당규 해석을 유연하게 하는 선에서 타협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쪽의 중재에 관여한 안상수 최고위원은 “(당규를 유연하게 해석해 벌금형 관련자도 공천 신청을 하도록 하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졌고, 강재섭 대표와 이방호 사무총장과도 이미 조율을 거쳤다”고 전했다. 박근혜 전 대표 쪽의 유승민 의원은 이런 내용의 타협안에 대해 “그런 타협안을 이제 와서 받아들일 수 있을지 모르겠다. 4일 (계보 소속) 의원들이 모여 입장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한겨레 관련기사]
▶ ‘당규 논쟁’ 본질은 ‘이명박당 만들기’ 다툼
▶ ‘벌금형 공천신청 가능’…박근혜쪽 “나쁘진 않지만” 태도 유보
▶ 강재섭 ‘뒤통수’ 맞았나 안맞았나
▶ ‘벌금형도 공천신청’ 의견접근했지만…한나라당 권력투쟁 ‘소용돌이’
▶ 강 대표“이방호 간신” 총장 퇴진 직격탄
▶ 똘똘 뭉친 ‘친박’…당안의 당
▶ 이명박 당선인, 박근혜 전 대표에 생일 축하난 전달
임석규 조혜정 기자 sky@hani.co.kr
친이-친박 감정 격앙 ‘여진’ 계속될 가능성 한나라당이 4월9일 총선 공천을 둘러싸고 끝없는 계파간 권력투쟁의 소용돌이에 빠져들고 있다. ‘부패 전력자 공천신청 불허’ 당규를 둘러싼 갈등이 이명박 당선인 쪽과 박근혜 전 대표 쪽 사이의 전면 대결 양상으로 치닫자, 당 지도부는 벌금형 전력자도 공천 신청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기로 1일 의견을 모았다. 이로써 극한 대결은 일단 수습의 실마리를 찾았으나, 공천을 둘러싸고 양쪽의 불신이 극심한 상태라 대립은 언제든지 재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1일 이 당선인 쪽과 박근혜 전 대표 쪽간 공천갈등을 촉발시킨 ‘부패 전력자 공천신청 불허’ 당규를 탄력적으로 해석해, 벌금형 전력자도 공천 신청이 가능하도록 기준을 완화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당 지도부는 2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런 기준을 추인하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벌금형 전력이 있는 박근혜 계보의 김무성 최고위원의 공천 신청이 가능하게 돼, 정면 충돌 양상으로 치닫던 양쪽의 갈등은 한고비를 넘길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갈등의 와중에서 강재섭 대표와 박근혜계 의원들이 이방호 사무총장 퇴진을 공개적으로 요구하는 등 양쪽 감정이 악화된 상태라, 여진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 앞서 박근혜 전 대표 진영의 의원·원외 당협위원장 70명은 이날 모임을 열고 이명박계인 이방호 사무총장의 즉각 퇴진과, 선거법 위반 전력이 있는 이재오·정두언 등 이명박 당선인 측근들의 공천 배제를 요구했다. 이들은 △선거법 사범도 공천자격 박탈 △하극상을 일으킨 이방호 사무총장 즉각 사퇴 △이명박 당선인의 조속한 사태 수습 등 3개항을 요구했다. 강재섭 대표도 이날 새벽 분당 자택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방호 총장 사퇴를 촉구했지만 이 총장은 사퇴를 거부했다.
사태가 확산되자 이명박 당선인 친형인 이상득 국회부의장이 나서, 강재섭 대표와 접촉해 당규 해석을 유연하게 하는 선에서 타협점을 찾은 것으로 알려졌다. 양쪽의 중재에 관여한 안상수 최고위원은 “(당규를 유연하게 해석해 벌금형 관련자도 공천 신청을 하도록 하는 선에서) 타협이 이뤄졌고, 강재섭 대표와 이방호 사무총장과도 이미 조율을 거쳤다”고 전했다. 박근혜 전 대표 쪽의 유승민 의원은 이런 내용의 타협안에 대해 “그런 타협안을 이제 와서 받아들일 수 있을지 모르겠다. 4일 (계보 소속) 의원들이 모여 입장을 정하겠다”고 말했다. [한겨레 관련기사]
▶ ‘당규 논쟁’ 본질은 ‘이명박당 만들기’ 다툼
▶ ‘벌금형 공천신청 가능’…박근혜쪽 “나쁘진 않지만” 태도 유보
▶ 강재섭 ‘뒤통수’ 맞았나 안맞았나
▶ ‘벌금형도 공천신청’ 의견접근했지만…한나라당 권력투쟁 ‘소용돌이’
▶ 강 대표“이방호 간신” 총장 퇴진 직격탄
▶ 똘똘 뭉친 ‘친박’…당안의 당
▶ 이명박 당선인, 박근혜 전 대표에 생일 축하난 전달
임석규 조혜정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