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에 당직자 신상정보 유출 혐의’ 간부 2명 연루
민노당, 논평없이 침묵…‘친북당’ 이미지 굳어져
민노당, 논평없이 침묵…‘친북당’ 이미지 굳어져
‘일심회 사건’은 재외동포인 장민호(미국이름 마이클 장)씨를 비롯해 최기영·이정훈·이진강·손정목씨 등 ‘386 운동권’ 출신 5명이 북한 공작원에게 남한 내부 동향을 보고했다는 이유로, 2006년 검찰에 의해 간첩죄(국가보안법상의 국가기밀 탐지·누설·전달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사건이다. 국가정보원이 적발했다. 당시 최기영 민주노동당 사무부총장과 이정훈 민주노동당 중앙위원이 당직자 수백명의 신상을 북쪽에 ‘유출’했다는 혐의가 알려지면서 민노당 안에서 파문이 일었다. 대법원은 지난해 말 이들 5명에게 모두 유죄를 선고했다. 하지만 구성원들이 조직 명칭과 서로의 활동 내용을 몰랐던 점 등에 비춰, 일심회가 이적성은 있지만 이적단체는 아니라고 판결했다.
자주파(NL) 중심의 민노당 지도부는 간부 2명이 구속 기소됐음에도 당 차원의 공식 브리핑이나 논평을 내놓지 않아 평등파(PD)의 반발을 샀다. 평등파 쪽에선 “국가보안법 위반 이전에 당직자 신상정보 유출은 심각한 인권침해이며 진보운동의 일탈행위”라고 공격한 반면, 자주파 인사들은 “당을 음해하려는 검찰의 공작”이라고 맞섰다. 특히, 평등파에 속하는 심상정 의원은 “당이 진상조사를 통해 깨끗하게 해명하고, 일탈행위엔 국민적 눈높이에 맞는 책임있는 조처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런 당 안의 논란 과정에서 이 사건은 일반 국민에게 ‘민주노동당=친북당’이라는 이미지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