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11일 방북 대화록 유출 책임을 물어 김만복 국정원장의 사표를 수리했다고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이 발표했다. 김 원장이 지난달 15일 사의를 표명한 지 27일 만이다. 청와대는 김 원장의 행동이 국가기밀 유출에 해당할 수 있다는 내부 판단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김 원장은 대선 하루 전날인 지난해 12월18일 방북해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을 만나 나눈 대화록을 언론에 흘린 사실이 밝혀져, 국가기밀 유출 혐의로 검찰 내사를 받았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사표 수리가 늦어진 데 대해 “김 원장이 소위 ‘북풍 공작설’ 등의 의혹 제기를 해명하는 과정이 매우 부적절하다고 판단했으나, 시간을 갖고 종합적이고 신중하게 (사표 수리 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천 대변인은 “후임 국정원장 선정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자연스럽게 국정원 1차장이 권한을 대행하는 체제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새 정부의 첫 국정원장이 임명될 때까지는 이수혁 1차장 대행체제로 국정원이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