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반응
보수성향 이명박 정부의 출범에 가장 큰 기대를 보이는 나라는 일본과 미국이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마치무라 노부타카 관방장관은 25일 기자회견에서 “이전 정부에선 일-한 관계가 그다지 순조롭지 못했다”며 “일-한, 미-한 관계에 큰 의욕을 갖고 있는 새 대통령의 등장에 우리들은 큰 기대를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언론들도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을 주요 뉴스로 보도하며 한-일 관계와 대북 정책의 변화 가능성에 지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주요 신문들은 취임사 내용을 상세히 전했고, <교도통신>은 이명박 정부의 외교라인에는 일본과 미국에 인맥을 갖고 있는 인사들이 많이 포진해있다며 면면을 자세히 소개하기도 했다.
중국 매체들도 이명박 정부의 출범이 두 나라 관계의 격상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하며 취임식 소식을 비중 있게 다뤘다. <중국중앙텔레비전>(CCTV)은 11시 뉴스에서 두번째 꼭지로 취임식 소식을 전하며, 행사장 전경을 내보냈다. 시나닷컴 등 주요 인터넷 포털들도 취임식을 주요 기사로 실었다. 스위앤화 푸단대 교수는 <동방조보> 인터뷰에서 “현재 한-중은 ‘전면적 협력 동반자’에서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단계를 격상시키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이 대통령이 한-중 관계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 아시아판은 25일 불도저라는 별명이 붙은 이명박 전 현대건설 사장이 새 대통령으로 선출된 배경에는 한국인의 국정 노선 변화에 대한 열망이 담겨 있다며, 변화의 시기가 왔음을 한국민들이 자각했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이 대통령이 경제적 외부 여건이 전임 대통령 때에 비해 훨씬 나빠진 상황에서 임기를 시작하게 됐으며, 북한의 인권이나 핵 문제에 강경 태도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이 대통령이 북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가 가장 큰 과제라고 지적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 대통령이 경제회복을 위해 이념보다는 실용주의를 약속하며 취임했다며, 취임사는 대선 공약과 같은 내용으로 가득차 있다고 전했다.
도쿄 베이징/김도형 유강문 특파원, 외신종합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