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득 국회부의장
한나라 공심위, 최고령 ‘이상득 문제’ 격론
“물갈이 위해 용퇴” “국정 안정위해 공천”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국회부의장의 공천 문제가 한나라당 공천심사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올해 73살에 5선인 이 부의장은 당내 최고령·최다선이다. 당내에선 그의 공천 여부가 고령·다선 의원 ‘물갈이’의 잣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당 공천심사위원회는 28일 오전 이 부의장 공천 문제로 격론을 벌이다 한때 회의를 중단하는 등 큰 진통을 겪었다. 공천심사위원들은 이날 단수 후보 지역 54곳을 심사해 초·재선 의원 전원의 공천을 내정했지만, 수도권·영남 지역의 일부 3선 이상 의원들을 놓고는 의견이 갈렸다. 특히 경북 포항남·울릉 단수 후보인 이 부의장을 놓고 일부 외부 심사위원들이 “이 부의장한테 공천을 준다면 더는 심사를 할 수가 없다”며 이 부의장 공천 배제를 주장했고, 일부 의원들이 “대선 기여도를 볼 때 공천에서 배제할 순 없다”고 격렬히 맞서다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최고 실세인 ‘대통령 형’의 공천 문제를 잘못 거론했다간 자신들이 다칠 수도 있다는 판단 아래 ‘이상득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하길 꺼리지만, 이 부의장 ‘용퇴론’에 공감하는 분위기가 적지 않다. ‘친이명박계’ 의원들도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려면 물갈이가 필수다. 그러려면 이 부의장부터 ‘모범’이 돼야 명분이 생긴다”고 얘기한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한 초선 의원은 “이 부의장이 계속 버티면 다른 사람을 물갈이하자고 할 수가 없다. 이 부의장이 용퇴하지 않으면 ‘현역 의원 40%’ 물갈이가 어떻게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일부 ‘친이’ 의원들은 낙마한 장관 후보자들 인선 과정에 이 부의장의 입김이 직간접으로 작용했다고 주장하면서 이 부의장의 부실인사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고령·다선 의원들은 이 부의장의 공천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 가운데 65살 이상은 이 부의장을 비롯해 이재창(72·3선)·김용갑(72·3선)·문희(72·비례)·이강두(71·4선)·박종근(71·3선)·박희태(70·5선) 의원 등 21명이다. 김용갑 의원은 이미 불출마를 선언했지만, 다른 의원들은 모두 공천 신청을 냈고, 박희태 의원을 뺀 대다수 인사가 ‘친박’으로 분류된다. 이 때문에 ‘고사’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친박근혜계’ 의원들은 “물갈이를 하려면 이 부의장부터 자르는 게 순서”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당 한쪽에선 이 부의장이 출마를 하는 게 옳다는 반론도 나온다. 대통령의 친형이 외부 비공식 라인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보다 차라리 국회의원으로서 공식적인 통로를 통해 발언권을 행사하는 것이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는 논리다. 이 부의장 쪽은 “당내는 물론 대야 관계에서 이 부의장의 역할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물갈이 위해 용퇴” “국정 안정위해 공천”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 이상득 국회부의장의 공천 문제가 한나라당 공천심사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올해 73살에 5선인 이 부의장은 당내 최고령·최다선이다. 당내에선 그의 공천 여부가 고령·다선 의원 ‘물갈이’의 잣대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당 공천심사위원회는 28일 오전 이 부의장 공천 문제로 격론을 벌이다 한때 회의를 중단하는 등 큰 진통을 겪었다. 공천심사위원들은 이날 단수 후보 지역 54곳을 심사해 초·재선 의원 전원의 공천을 내정했지만, 수도권·영남 지역의 일부 3선 이상 의원들을 놓고는 의견이 갈렸다. 특히 경북 포항남·울릉 단수 후보인 이 부의장을 놓고 일부 외부 심사위원들이 “이 부의장한테 공천을 준다면 더는 심사를 할 수가 없다”며 이 부의장 공천 배제를 주장했고, 일부 의원들이 “대선 기여도를 볼 때 공천에서 배제할 순 없다”고 격렬히 맞서다 결론을 내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최고 실세인 ‘대통령 형’의 공천 문제를 잘못 거론했다간 자신들이 다칠 수도 있다는 판단 아래 ‘이상득 문제’를 공개적으로 거론하길 꺼리지만, 이 부의장 ‘용퇴론’에 공감하는 분위기가 적지 않다. ‘친이명박계’ 의원들도 “총선에서 한나라당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려면 물갈이가 필수다. 그러려면 이 부의장부터 ‘모범’이 돼야 명분이 생긴다”고 얘기한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한 초선 의원은 “이 부의장이 계속 버티면 다른 사람을 물갈이하자고 할 수가 없다. 이 부의장이 용퇴하지 않으면 ‘현역 의원 40%’ 물갈이가 어떻게 가능하겠느냐”고 말했다. 일부 ‘친이’ 의원들은 낙마한 장관 후보자들 인선 과정에 이 부의장의 입김이 직간접으로 작용했다고 주장하면서 이 부의장의 부실인사 책임론을 제기하기도 한다. 고령·다선 의원들은 이 부의장의 공천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나라당 의원 가운데 65살 이상은 이 부의장을 비롯해 이재창(72·3선)·김용갑(72·3선)·문희(72·비례)·이강두(71·4선)·박종근(71·3선)·박희태(70·5선) 의원 등 21명이다. 김용갑 의원은 이미 불출마를 선언했지만, 다른 의원들은 모두 공천 신청을 냈고, 박희태 의원을 뺀 대다수 인사가 ‘친박’으로 분류된다. 이 때문에 ‘고사’ 위기감을 느끼고 있는 ‘친박근혜계’ 의원들은 “물갈이를 하려면 이 부의장부터 자르는 게 순서”라는 주장을 펴고 있다. 당 한쪽에선 이 부의장이 출마를 하는 게 옳다는 반론도 나온다. 대통령의 친형이 외부 비공식 라인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보다 차라리 국회의원으로서 공식적인 통로를 통해 발언권을 행사하는 것이 부작용을 막을 수 있다는 논리다. 이 부의장 쪽은 “당내는 물론 대야 관계에서 이 부의장의 역할이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