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박근혜, 계파 의원들 탈당 사실상 묵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벼랑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계파 소속 의원들이 하나, 둘 공천에서 탈락할 때마다 칩거도 하고 ‘표적공천’이라고 목소리도 높여보지만 그 울림은 점점 미약해지고 있다. 박 전 대표는 14일에도 영남권 공천 결과를 ‘잘못된 공천, 표적 공천’이라고 비판했지만 당 최고위원회는 이를 아랑곳하지 않고 지체없이 공천심사위 심사 결과를 승인했다.
박근혜 계파에선 박 전 대표가 행동에 나설 수 있는 ‘마지노선’으로 핵심 측근인 ‘김무성·유승민·이혜훈’ 의원의 공천탈락을 꼽아왔다. 공천심사위는 유승민 의원은 살렸지만 김무성 의원은 날렸다. 박 전 대표는 지난 12일 기자간담회에서 “잘못된 공천으로 당 화합이 힘든 상황이 올 수 있다. 앞으로 지켜보고 판단하겠다”고 경고했지만, 경고는 현실이 돼버렸다.
박 전 대표가 집안에 가만히 앉아 있는 것만은 아니다. 그는 영남권 공천결과가 발표된 지난 13일 밤 탈락한 계파 의원들에게 부지런히 전화를 돌렸다. 박 전 대표는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모르겠다. 살아서 돌아와 달라”고 말했다고 유기준 의원이 전했다. 이인기 의원도 박 전 대표의 전화를 받았다. 이 의원이 억울함을 호소하자 박 전 대표는 “힘이 없어서 죄송합니다. 꼭 살아서 돌아오십시오”라고 위로했다. 익명을 요구한 박근혜 계보의 한 의원도 “박 전 대표가 전화를 걸어와 ‘이대로 주저앉으실 겁니까. 살아남아야 합니다’라고 했다”고 전했다. 박 전 대표가 계파 의원들에게 한나라당 탈당의 정당성을 부여하며 은근히 무소속 출마를 권유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박 전 대표에게 ‘탈당’은 최후의 선택일 수밖에 없다. 한나라당을 탈당했다가 복당한 뼈아픈 경험도 있다. 지난 2000년 김윤환·김광일 전 의원 등 한나라당 영남권 공천 탈락자들이 탈당해 만든 민국당의 실패사례도 반면교사다. 시간도 없다. 박 전 대표로선 쉽게 꺼내들 수 없는 카드인 셈이다.
하지만 탈당한 계파 소속 의원들이 당 바깥에서 일정한 세력을 형성할 때까지 당내에 잔류해 명분을 쌓으며 때를 기다리는 방법도 있다는 게 측근들의 설명이다. 한 측근은 “박 대표가 지금 당장 탈당을 결행하기는 어렵지만 공천에서 탈락한 계파 의원들의 탈당을 말릴 수도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계파 의원들의 탈당을 부추기지는 않는다 해도, 방조 내지 묵인하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당직을 맡고 있는 박근혜 계보의 한 의원은 “지금으로선 아무도 박 전 대표의 속내를 읽을 수 없다. 곧 측근 의원들과 거취와 행보를 협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기로에 섰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