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외교차관보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21일 이른바 ‘북핵 6월 위기설’에 대해, “6월은 3차 6자 회담 이후 1년이 되는 심리적인 선”이라며 “북한이 회담을 지연시키고 그래서 전망도 안 보이기 때문에 (참가국들 간에) 이런 상태를 무한정 끌고갈 수는 없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북핵 6자 회담 한국쪽 수석대표인 그는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렇게 말하고, “회담도 안 되고 문제 해결도 안 된다는 판단이 서는 시점이 오면 그때 가서 마음 속에 두고 있는 상황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물컵에 물을 채울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목적하는 양의) 물을 채울 수 없다고 판단할 때 물컵을 바꾸는 법”이라고 말해, 아직은 6자 회담 외의 다른 선택을 할 시기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송 차관보는 이어 <기독교방송> 시사 프로그램에 나와, “북한의 ‘벼랑끝 전술’로 다 같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혼자 떨어질 수도 있다”며 “그런 전술이 북한에게 꼭 유리한 상황으로 간다고 할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문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에 대해, “미국이 그런 것을 제의했거나 우리가 검토한 적이 없다”며 “정부는 안보리 회부가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6s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송민순 외교통상부 차관보는 21일 이른바 ‘북핵 6월 위기설’에 대해, “6월은 3차 6자 회담 이후 1년이 되는 심리적인 선”이라며 “북한이 회담을 지연시키고 그래서 전망도 안 보이기 때문에 (참가국들 간에) 이런 상태를 무한정 끌고갈 수는 없다는 공감대가 있다”고 말했다. 북핵 6자 회담 한국쪽 수석대표인 그는 이날 <문화방송>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렇게 말하고, “회담도 안 되고 문제 해결도 안 된다는 판단이 서는 시점이 오면 그때 가서 마음 속에 두고 있는 상황을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물컵에 물을 채울 수 있는 여지가 있지만 (목적하는 양의) 물을 채울 수 없다고 판단할 때 물컵을 바꾸는 법”이라고 말해, 아직은 6자 회담 외의 다른 선택을 할 시기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송 차관보는 이어 <기독교방송> 시사 프로그램에 나와, “북한의 ‘벼랑끝 전술’로 다 같이 떨어질 수도 있지만 혼자 떨어질 수도 있다”며 “그런 전술이 북한에게 꼭 유리한 상황으로 간다고 할 수만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북핵 문제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부에 대해, “미국이 그런 것을 제의했거나 우리가 검토한 적이 없다”며 “정부는 안보리 회부가 만병통치약이 아니며, 부담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6s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