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오른쪽)와 홍준표 원내대표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각각 머리와 입술을 매만지고 있다. 강재훈 선임기자 khan@hani.co.kr
한나라당선 “총리·대통령실장 포함 대폭 교체” 목소리
청와대는 “일괄사의 얘기 너무 앞서가”…5명안팎 거론
청와대는 “일괄사의 얘기 너무 앞서가”…5명안팎 거론
한나라당에서 내각 총사퇴 등 ‘조각 수준’으로까지 인적 쇄신 폭을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들이 터져나오는 반면에, 청와대는 4일 쇄신론 속도조절 뜻을 비쳐 긴장감이 조성되고 있다.
정병국·김용태·조해진 의원 등 이명박계 의원들은 4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한승수 총리·류우익 대통령실장을 포함해 청와대 수석·내각의 대폭 교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해진 의원은 “초기에 수석·장관 인사부터 잘못됐다. 이왕 석 달을 실패했으면 지금 취임했다고 생각하고 청와대와 내각을 전면 개편해야 한다”며 “준비가 안 된 인재풀을 들여오는 ‘땜질 인사’는 하지 말아야 한다”고 짚었다. 차명진 의원도 “완전히 바꿔야 하며, 최소한 ‘강부자 내각’은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영진 의원 역시 “인적쇄신의 폭이 크면 클수록 국민들의 신뢰의 수준이 높아질 것”이라고 주문했다.
남경필 의원은 “국민들이 대통령의 말을 듣도록 신뢰를 회복하려면 인사로 쇄신할 수밖에 없으므로, 수석·장관 모두 일괄 사표를 내고 그 다음에 대통령이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며 “적어도 ‘국민과의 대화’ 전에 인적쇄신의 큰 방향이라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름을 알리지 말라고 요청한 박근혜계의 중진 의원들도 “국민들이 ‘너무 자르는구나’ 싶을 정도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 짜는 청와대·내각에는 이념과 색깔이 다른 사람들도 아울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원희룡 의원은 “친박 인사들을 집어넣고 당이 너무 시끄러우니까 정치인들을 몇 명 집어넣겠다는 식으로 해선 안 된다”며 “사회정책 분야에선 오히려 이전 정권에서 일했던 사람들, 사회운동가 출신, 정책전문가 등 진보적인 인물들을 적극 기용해 민주화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서민층에 대한 배려에도 힘쓴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민 의원도 “도덕성은 첫째 요건이고, 국정을 안정시킬 수 있는 능력이 둘째”라며 “이념은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인적쇄신에 앞서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성식 의원은 “촛불의 몸체는 어려워진 국민의 삶이고, 촛불의 배후는 이 모든 걸 내팽개치고 있는 정치”라며 “단기부양책 중심의 경제정책을 노인복지·교육·사회정책 등을 동반한 사회경제정책으로 바꾸고, 운하 논란도 종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영진 의원도 “경쟁과 효율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그늘지고 소외된 부분에 대한 사회정책을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청와대는 현격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인책이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일괄 사의 표명이라든가 조각 수준의 개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것은 너무 앞서 나간 얘기”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은 쉽게 바꾸지 않는 것”이라며 “과거 서울시장으로서 교통체계 개편 때도 처음에는 불편하다고 여기저기서 책임자를 사퇴시켜야 한다고 했으나 안 했다”라고 덧붙였다. 청와대 안에서는 최근 쇠고기 파동 및 경제 악화와 관련이 있는 장관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 5명 안팎의 ‘소폭 교체’에 그칠 것이라는 기류가 강하다.이유주현 황준범 기자 edigna@hani.co.kr
국정난맥 관련 인사들
이름을 알리지 말라고 요청한 박근혜계의 중진 의원들도 “국민들이 ‘너무 자르는구나’ 싶을 정도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새로 짜는 청와대·내각에는 이념과 색깔이 다른 사람들도 아울러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원희룡 의원은 “친박 인사들을 집어넣고 당이 너무 시끄러우니까 정치인들을 몇 명 집어넣겠다는 식으로 해선 안 된다”며 “사회정책 분야에선 오히려 이전 정권에서 일했던 사람들, 사회운동가 출신, 정책전문가 등 진보적인 인물들을 적극 기용해 민주화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서민층에 대한 배려에도 힘쓴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말했다. 유승민 의원도 “도덕성은 첫째 요건이고, 국정을 안정시킬 수 있는 능력이 둘째”라며 “이념은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인적쇄신에 앞서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성식 의원은 “촛불의 몸체는 어려워진 국민의 삶이고, 촛불의 배후는 이 모든 걸 내팽개치고 있는 정치”라며 “단기부양책 중심의 경제정책을 노인복지·교육·사회정책 등을 동반한 사회경제정책으로 바꾸고, 운하 논란도 종식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영진 의원도 “경쟁과 효율의 부작용을 보완할 수 있도록 그늘지고 소외된 부분에 대한 사회정책을 강화하는 쪽으로 정책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작 청와대는 현격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인책이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일괄 사의 표명이라든가 조각 수준의 개각이 이뤄질 것이라는 것은 너무 앞서 나간 얘기”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은 쉽게 바꾸지 않는 것”이라며 “과거 서울시장으로서 교통체계 개편 때도 처음에는 불편하다고 여기저기서 책임자를 사퇴시켜야 한다고 했으나 안 했다”라고 덧붙였다. 청와대 안에서는 최근 쇠고기 파동 및 경제 악화와 관련이 있는 장관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등 5명 안팎의 ‘소폭 교체’에 그칠 것이라는 기류가 강하다.이유주현 황준범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