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 60년’ 재래시장 100여곳에 예산 1천만원씩 지원
정부가 올해 광복절 행사와 관련해 전국 재래시장에 지원금을 줘 ‘건국 60년’ 행사를 대대적으로 열기로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정부는 최근 전국의 재래시장에서 ‘건국 6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열기로 하고 중소기업청 특수법인인 시장경영지원센터를 통해 8일까지 지원서와 행사계획서를 받아 100여 곳을 선정해 시장별로 1천만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지원금은 중소기업청의 공동마케팅사업 예산 등으로 충당할 것으로 알려졌다.
광역 시·도별 지원 대상은 △부산과 경남 각각 11곳 △경북 10곳 △경남과 전남 각각 9곳 △대구 8곳 △경기 7곳 △충남과 전북 각각 6곳 △인천, 울산, 강원, 충북 각각 5곳 △대전과 제주 각각 4곳 등 모두 105곳이다.
시장경영지원센터 쪽은 8일 “서울은 별도로 지원할 재래시장을 정할 예정”이라며 “건국 60년 행사 기획안은 중소기업청에서 확정해 행정안전부를 거쳤으며 국무총리실에서 주관하는 사업”이라고 밝혔다.
확정된 ‘건국 60주년 기념 전통시장 이벤트 행사 지원 관련 지원내용 및 유의사항’을 보면 태극기, 독도, 한반도를 형상화한 깃발과 걸개그림 등을 시장에 내거는 등 광복 분위기를 살리고 관련 홍보물과 만세운동 재현, 문화예술 공연, 경품행사 등을 지원한다.
또 ‘건국 60주년’에 걸맞은 60가지 상품을 1주일(13~18일) 동안 할인 판매하고 60년 전 가격으로 판매하는 행사를 하면 홍보판촉비 등을 지원하고 행사기획, 인건비, 연예인 출연비 등 공연 비용도 지원 대상에 포함돼 있다.
중소기업청 소상공인정책국 관계자는 “예년의 경우 공동마케팅사업 예산은 추석, 설 등 명절 행사비로 지원했으나 올해는 불경기가 계속돼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광복절에 지원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광복회 차창규 사무총장은 “헌법 전문을 보면 ‘대한민국은 3·1 정신을 계승한 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았다’고 천명한 만큼 우리나라의 건국일은 1919년 4월13일”이라며 “나라의 염통이 썩고 있다”고 한탄했다. 이재근 참여연대 행정감시팀장은 “역사학계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린 상황에서 광복절 행사를 ‘건국 60년 행사’로 몰아가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송인걸 최익림 기자 igsong@hani.co.kr
송인걸 최익림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