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공정택 문제등 정부입장 ‘몸바쳐’ 대변
“달라져도, 너무 달라졌다.”
‘권력 사유화’ 의혹을 제기하며 ‘집권세력의 소금역할’을 자임한 정두언(사진) 의원의 국정감사 태도를 두고 정치권에서 이런 뒷말이 터져나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의원의 ‘이선후퇴’ 성명을 주도하고, 대통령의 오른팔 격인 박영준 기획조정비서관을 인사전횡의 장본인으로 지목해 낙마시킨 그가 최근 국정감사에선 ‘색깔 공세’까지 동원하며 대야 전선의 첨병으로 나서기 때문이다.
정 의원은 지난 6일 교육과학기술부 국정감사에서 “금성출판사에서 발행한 근현대사 교과서가 북한 교과서를 베꼈다”고 주장했다. 그는 한 발 더 나아가 “좌파세력들에 의해 만들어진 역사교과서의 편향이 우리 사회에 끼치는 폐해와 해악은 나라의 존망까지 위협할 정도이기 때문에 연내에 교과서 개정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외쳤다. 정 의원은 7일 열린 서울특별시교육청 국정감사에선 학원 관계자로부터 18억원을 빌린 공정택 서울시교육감을 두둔했다. 공 교육감의 도덕성을 문제삼는 야당 의원들의 질의에 “나라도 7억원을 빌리려면 친인척에게 갈 수 밖에 없다”고 편들었고, 야당 의원의 집요한 추궁에는 “공 교육감은 답변하지 말라”고 말하기도 했다. 민주당은 “정두언 의원의 언행은 오만과 독선 그 자체”라며 비판하며 퇴장하는 등 파행이 빚어졌다. 정 의원의 이런 행보에 대해선 여권 안에서도 해석이 분분하다. 한 초선 의원은 “이 대통령에게 충성심을 증명하려는 것 아니겠냐”고 말했다. 반면 정 의원을 잘 아는 재선의 당직자는 “정 의원의 보수적 소신을 밝힌 것일 뿐, 정치적 의도는 없다”고 말했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