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은 “규탄대회 열자”
처음에는 결기가 넘쳤다. 민주당 원내 지도부가 이례적인 ‘일요 긴급의총’ 소집을 알린 지난 17일, 한 핵심 당직자는 “이렇게 국민과 야당을 무시하는 국정감사를 계속해야 할지… 보이콧 여론이 만만찮다”(핵심 당직자)고 당내 분위기를 전했다. 민주당이 줄기차게 요구한 ‘쌀 직불금 부정 수령자 명단’은 그날도 공개되지 않았다. 환경노동위원회에서는 국감 준비 상황을 국정원과 경찰청에 수시 보고한 부산지방노동청의 문건이 나왔다. 당 지도부는 격앙됐다.
19일 오후 소집된 의총에선 시작부터 강경한 발언이 잇따랐다.
“직불금 문제와 관련해 여권 행태를 보면 오만하기 짝이 없다. 도대체 국민은 안중에도 없고, 자신들만 갖고 있는 정보와 자료를 가지고 주무르고 있는지 예측을 할 수 없는 작태가 벌어지고 있다.”(정세균 대표) “국감의 진행에 심각한 위해가 다방면에서 발생하고 있다. 쌀 직불금 불법수령은 농민을 위한 국민의 혈세를 가로챈 파렴치한 행위다. 국민과 함께 힘들게 만들어놓은 민주주의 전진이 허망하게 전면적으로 부정당할 수 있다는 것에 절망을 느끼고, 우리의 책임에 대해 깊은 고민을 하지 않을 수 없다.”(원혜영 원내대표)
그러나 두 시간 남짓 지난 뒤 발표된 의총 결과는 ‘예상 수위’보다 낮았다. 20일 오전 국회 본관 앞에서 ‘쌀 직불금 부정수령 은폐규탄대회’를 열고, 한나라당 홍준표 원내대표와 ‘대화’를 요구하기로 했다. 애초 부글부글 끓는다던 당내 여론과는 사뭇 다른 결론이다. 조정식 원내 대변인은 “보이콧 의견이 나오긴 했으나 다수는 아니었다”고 전했다. “우리 당이 하는 일이 그렇지 뭐.” 한 핵심 당직자의 말이다.
강희철 송호진 기자 hcka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