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대화재개·6자회담 복귀등 ‘모르쇠’
유엔사 역할 강화론 등엔 민감 날선 비난 북한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남북 당국간 대화 재개나 6자 회담 복귀 요구에 철저히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최근 들어선 핵무기나 6자 회담에 대한 언급 자체를 피하는 모양새다. 다만 미국에 대한 날 선 비난만 난무하고 있다. 북한 <중앙방송>은 4일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지난달 백악관 상공 비행금지구역이 뚫렸다는 경보 때문에 지하벙커로 긴급 대피했다는 외신을 전하며, “죄 지은 자만이 할 수 있는 삼십육계 줄행랑”이라고 야유를 퍼부었다. 앞서 북한 외무성은 부시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해 ‘위험한 사람’ ‘폭군’ 등으로 비난하자, 이튿날인 30일 부시 대통령을 겨냥해 ‘불망나니’ ‘도덕적 미숙아’ ‘인간추물’ 등의 원색적인 용어를 써가며 격하게 비난한 바 있다. 최근 북한이 가장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문제는 정전협정의 관리자 격인 유엔군사령부 역할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다. 리언 라포트 주한미군사령관 겸 유엔군사령관이 지난 4월8일 미 상원 군사위원회에 출석해 유엔사 역할 강화론을 내놓자, <조선중앙통신>은 다음날인 4월9일 “핵 문제를 유엔에 끌고 가, 반공화국 핵소동을 광란적으로 벌여 유사시 유엔의 간판을 이용해 다국적군이 자동개입할 수 있는 구실을 마련하려는 기도에서 출발했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또 같은달 14일 “다국적군을 조선전쟁에 들이밀려는 위험한 시도”라고 비난했던 <평양방송>은 지난 3일에도 논평을 내어 “사실상 조선전쟁을 도발하고 유엔의 이름을 도용해 다국적군을 투입한 1950년대의 침략수법을 그대로 재현시키려는 부시 호전세력의 범죄적 흉계의 발로”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북한은 6자 회담이나 남북대화 재개에 대한 언급은 의도적이라고 보일 정도로 피하고 있다. ‘2·10 핵보유 선언’에 이어 3월31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6자 회담의 군축회담 전환을 주장했던 북한이 6자 회담을 공식 거론한 것은 지난 4월25일이 마지막이다. 북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중앙통신>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미국이 핵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끌고 가고 싶으면 가 보라”며 “우리는 제재를 곧 선전포고로 간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정부 당국자는 “지난 2∼3월 주춤했던 김정일 위원장의 군부대 순시가 4월 들어 다시 활발해지고 있지만, 이는 조류독감 등 특수상황을 감안할 경우 예년과 비슷한 모양새”라며 “북 언론보도 등도 별다른 특이동향은 없으며, 최근 6자회담 복귀 문제 등에 대한 발언이 줄어든 것은 3월31일 외무성 담화 이후 별다른 정책 변화가 없기 때문일 것”이라고 풀이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유엔사 역할 강화론 등엔 민감 날선 비난 북한의 ‘침묵’이 길어지고 있다. 남북 당국간 대화 재개나 6자 회담 복귀 요구에 철저히 모르쇠로 일관하면서, 최근 들어선 핵무기나 6자 회담에 대한 언급 자체를 피하는 모양새다. 다만 미국에 대한 날 선 비난만 난무하고 있다. 북한 <중앙방송>은 4일 조지 부시 미 대통령이 지난달 백악관 상공 비행금지구역이 뚫렸다는 경보 때문에 지하벙커로 긴급 대피했다는 외신을 전하며, “죄 지은 자만이 할 수 있는 삼십육계 줄행랑”이라고 야유를 퍼부었다. 앞서 북한 외무성은 부시 대통령이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해 ‘위험한 사람’ ‘폭군’ 등으로 비난하자, 이튿날인 30일 부시 대통령을 겨냥해 ‘불망나니’ ‘도덕적 미숙아’ ‘인간추물’ 등의 원색적인 용어를 써가며 격하게 비난한 바 있다. 최근 북한이 가장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문제는 정전협정의 관리자 격인 유엔군사령부 역할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다. 리언 라포트 주한미군사령관 겸 유엔군사령관이 지난 4월8일 미 상원 군사위원회에 출석해 유엔사 역할 강화론을 내놓자, <조선중앙통신>은 다음날인 4월9일 “핵 문제를 유엔에 끌고 가, 반공화국 핵소동을 광란적으로 벌여 유사시 유엔의 간판을 이용해 다국적군이 자동개입할 수 있는 구실을 마련하려는 기도에서 출발했다”고 비난하고 나섰다. 또 같은달 14일 “다국적군을 조선전쟁에 들이밀려는 위험한 시도”라고 비난했던 <평양방송>은 지난 3일에도 논평을 내어 “사실상 조선전쟁을 도발하고 유엔의 이름을 도용해 다국적군을 투입한 1950년대의 침략수법을 그대로 재현시키려는 부시 호전세력의 범죄적 흉계의 발로”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북한은 6자 회담이나 남북대화 재개에 대한 언급은 의도적이라고 보일 정도로 피하고 있다. ‘2·10 핵보유 선언’에 이어 3월31일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통해 6자 회담의 군축회담 전환을 주장했던 북한이 6자 회담을 공식 거론한 것은 지난 4월25일이 마지막이다. 북 외무성 대변인은 이날 <중앙통신>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미국이 핵문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끌고 가고 싶으면 가 보라”며 “우리는 제재를 곧 선전포고로 간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정부 당국자는 “지난 2∼3월 주춤했던 김정일 위원장의 군부대 순시가 4월 들어 다시 활발해지고 있지만, 이는 조류독감 등 특수상황을 감안할 경우 예년과 비슷한 모양새”라며 “북 언론보도 등도 별다른 특이동향은 없으며, 최근 6자회담 복귀 문제 등에 대한 발언이 줄어든 것은 3월31일 외무성 담화 이후 별다른 정책 변화가 없기 때문일 것”이라고 풀이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