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민주당 대표(오른쪽 두번째)가 28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열린 민주노총 지도부와의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오른쪽은 진성옥 민주노총 수석부위원장.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범민주 연합전선’ 가시화
정부 맞대응 공감대 형성
정세균 대표 가장 적극적
정부 맞대응 공감대 형성
정세균 대표 가장 적극적
민주당-민주노동당-시민사회단체를 잇는 범민주 연합전선 구축이 가시화하고 있다.
민주당과 민주노동당은 지난 25일 남북관계 경색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양당 대표가 만난 이후 실무진들이 사흘 연속 만나 공조내용을 구체화하고 있다. 양당은 28일 “정세균 민주당 대표와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가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까지 포함시켜 30일 남북문제 위기 타개를 위한 3당 비상대책회의를 갖고 공동결의안을 발표한다”고 실무협의 첫 결과를 내놓았다. 양당은 남북문제는 물론, 예산안과 감세법안 등에서도 공동 대응한다는 데 상당한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양당은 국회 차원의 비상시국회의 설치와 관련해 향후 시민단체와 외부 전문가를 포함시키는 것까지 고려하는 등 범민주 세력을 아우르는 큰 틀의 공조체제를 추구하고 있다.
민주당과 노동계의 접촉도 잦아지고 있다. 지난 25일 한국노총과 만난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이날 민주노총을 방문하는 등 노동계와 연대의 길을 터가고 있다. 정 대표는 이날 민주노총에서 “민주당도 과거에 비해 힘이 약화됐고 민주노총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그래서 서로를 격려하고 힘을 합치지 않으면 난국을 타개할 수 없다는 공감대를 쉽게 만들 수 있는 상황인 것 같다”며 협력을 당부했다. 정 대표 쪽은 “양대 노총과의 만남에서 분위기가 굉장히 좋았다”며 고무적인 반응을 보였다.
정치권과 시민단체와의 관계 회복도 빨라지고 있다.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과 시민단체가 참여해 발족한 민생민주국민회의는 다음날 4일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경제·민생위기 비상시국회의’를 공동 개최한다. 민주당과 시민단체의 ‘다리’ 구실을 하는 정범구 민주당 대외협력위원장은 “비상시국회의에서 특권층 중심 감세 폐지, 실업대책 강구 등 10대 요구안을 내놓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민주노동당, 시민단체는 ‘민생민주국민회의’란 울타리를 통해 이명박 정부의 민주주의 파괴에도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연합전선에 속도가 붙기 시작한 데는 일차적으로 민주당이 적극성을 보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민주당의 이런 움직임엔 정부 여당의 ‘헛발질 정책’ 속에서도 지지율이 10%대에 꽁꽁 얼어붙어 있다는 당 안팎 질책에 대한 압박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특히 민주당이 민심을 얻지 못한다는 판단 속에서 다음달 2일 김근태 전 의원, 천정배 의원 등 당내 진보개혁성향 주축의 ‘민주연대’가 출범하는 것도 지도부의 선명성 강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원내 5석의 한계를 절감하는 민주노동당도 외연 확대를 통한 돌파구 마련이 절박한 상황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다음달 1일 대통령과 여야 대표 간의 청와대 회동에 가지 않겠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정 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지난 9월 영수회담에서 합의한 것들이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만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게 우리 당 판단”이라며 불참의 뜻을 분명히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