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위기 극복 연석회의’ 이후…
민주당 일부선 “반MB 연합공천” 주장까지
민노·진보 “반 신자유주의 합의없인 무의미”
민주당 일부선 “반MB 연합공천” 주장까지
민노·진보 “반 신자유주의 합의없인 무의미”
김민영 참여연대 사무처장은 요즘 고민이 하나 있다. 지난 4일 출범한 경제·민생 위기극복 연석회의에 참여한 정당, 시민사회단체, 각계인사들을 지속적으로 묶어 세울 수 있는 연대의 틀을 어떻게 마련하는가다.
그는 “연대의 틀 속에서 선의의 경쟁을 하는 구조로 만들 수 있다면 최선”이라고 했다. 말로는 쉽지만 만만치 않은 일이다. 진보·개혁 세력은 명분에 죽고 명분에 사는 사람들이다.
2007년 대선과 2008년 총선에서 진보·개혁 성향의 정치세력이 패퇴한 뒤, ‘연대’라는 단어가 다시 나오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했다. 시민사회단체에서는 500만표 차이로 정권을 넘겨준 민주당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았다. 총선을 앞두고 분열한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런 가운데 9월24일 시민사회 각계인사 51인이 ‘촛불국면’을 정리하는 시국선언을 하면서 “기존 정당의 잠재력과 현실적 가치를 경시하지 않는 슬기로운 방식”을 처음 제안했다. 그 뒤 민생민주국민회의가 출범하면서 ‘제 정치세력’을 포함한 연대를 제안했고, 강기갑 민주노동당 대표는 국회 비교섭단체대표 연설을 통해 ‘반이명박 연대’를 제의했다.
이런 흐름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끼어들었다. 민주당과 진보정당, 시민사회단체가 ‘민주연합’의 틀로 뭉쳐야 한다는 정치적 제안을 하고 나선 것이다.
민주연합은 아직은 제목만 존재하는 개념이지만 ‘반이명박 정책 연대’를 넘어서는 ‘정치연합’의 냄새를 물씬 풍기고 있다. 민주당 안에서는 “2010년 지방선거에서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등 의미있는 정치세력이 정치협상을 통해 연합공천을 성사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꽤 퍼져 있다. 심지어 서울시장이나 경기지사 후보 중 하나를 진보정당에 양보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온다. 지난 4월 총선에서 수도권에 출마했던 한 당직자는 “내가 30%를 득표했는데 민주노동당 후보가 10%를 얻었다”며 “다음 선거에서 연합공천에 실패하면 한나라당 후보를 이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아무튼 김대중 전 대통령 발언을 계기로 진보정당과 시민사회단체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대 논의는 오히려 복잡해졌다. 민주노동당은 다음주에 최고위원-의원단 연석회의, 확대간부회의를 열어 민주연합에 대한 당의 입장을 정리하기로 했다. 박승흡 대변인은 “신자유주의와 한-미 자유무역협정에 대한 민주당의 반성이 있다면 정치연합 논의도 속도가 붙을 수 있다”고 말했다.
진보신당은 한시적 정책연대에는 동참하면서도, 그 이상의 민주연합에 대해선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지안 부대변인은 “‘신자유주의’에 대한 해답 없이 정책연합, 선거연합을 얘기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말했다. 아직 정당의 면모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현실도 진보신당의 유연성을 제한하고 있다.
5일 <오마이뉴스>에서는 논쟁이 벌어졌다. 노회찬 진보신당 공동대표가 “민주대연합론은 결국 민주당 강화론”이라고 비판하고 나섰고, 소설가 김갑수씨는 “대연합 반대 손호철·진중권, 대안이 뭔가’라고 반격했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5일 <오마이뉴스>에서는 논쟁이 벌어졌다. 노회찬 진보신당 공동대표가 “민주대연합론은 결국 민주당 강화론”이라고 비판하고 나섰고, 소설가 김갑수씨는 “대연합 반대 손호철·진중권, 대안이 뭔가’라고 반격했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