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개방3000’ 주도
대북강경 기조 고수뜻 이명박 대통령이 새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현인택 고려대 교수를 기용한 뜻은 간명하다. ‘기존의 대북 강경 정책기조를 고수하며 정책 집행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현 교수는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외교정책 자문단으로 활동해와 이 대통령과 ‘뜻이 통하는’ 인물로 통한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19일 개각 배경을 설명하며, 현 후보자가 “비핵·개방·3000 구상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고 강조했다. 달리 말하자면, ‘대북정책 전환은 없다’는 메시지다. 지금까지 하던 대로 할 것이고 남북간 갈등을 풀려고 관계 개선조처를 먼저 취하지도 않겠다’는 것이다. 이 대변인은 현 후보자를 “북한사정에 해박한 대북정책 브레인”이라고 소개했지만, 사실관계에 부합하는 평가로 보긴 어렵다. 현 후보자는 ‘미-일 및 한-미 방위비’와 관련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북아 역내질서, 북핵 문제, 방위비 등 외교·안보 관련 사안을 연구해온 국제정치학자다. 이런 이유로 그는 지난해 정부 출범 직후부터 통일부 장관보다는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또는 외교통상부 장관 후보로 자주 거론돼 왔다. 정부 관계자는 “대통령의 뜻은 지금처럼 외교의 큰 틀에서 남북관계를 풀어가겠다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통일부 안에선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현 후보자가 대통령의 측근 전문가라는 점은 ‘기대’를 갖게 하지만, 남북관계의 특수성보다 한-미동맹을 중시하는 보수성향의 국제정치학자라는 점은 ‘우려’된다는 것이다. 현 후보자는 “어려운 시기에 중책을 맡았으니 남북관계를 잘 풀어나가고 대통령의 철학을 잘 뒷받침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제주(55) △제주일고,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국제정치학 박사 △고려대 정외과 교수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 외교·통일·안보 분과위 위원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미래외교·안보 분과 민간위원
이제훈 손원제 기자 nomad@hani.co.kr
대북강경 기조 고수뜻 이명박 대통령이 새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현인택 고려대 교수를 기용한 뜻은 간명하다. ‘기존의 대북 강경 정책기조를 고수하며 정책 집행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실제 현 교수는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외교정책 자문단으로 활동해와 이 대통령과 ‘뜻이 통하는’ 인물로 통한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19일 개각 배경을 설명하며, 현 후보자가 “비핵·개방·3000 구상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다”고 강조했다. 달리 말하자면, ‘대북정책 전환은 없다’는 메시지다. 지금까지 하던 대로 할 것이고 남북간 갈등을 풀려고 관계 개선조처를 먼저 취하지도 않겠다’는 것이다. 이 대변인은 현 후보자를 “북한사정에 해박한 대북정책 브레인”이라고 소개했지만, 사실관계에 부합하는 평가로 보긴 어렵다. 현 후보자는 ‘미-일 및 한-미 방위비’와 관련한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고, 동북아 역내질서, 북핵 문제, 방위비 등 외교·안보 관련 사안을 연구해온 국제정치학자다. 이런 이유로 그는 지난해 정부 출범 직후부터 통일부 장관보다는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또는 외교통상부 장관 후보로 자주 거론돼 왔다. 정부 관계자는 “대통령의 뜻은 지금처럼 외교의 큰 틀에서 남북관계를 풀어가겠다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통일부 안에선 기대와 우려가 엇갈린다. 현 후보자가 대통령의 측근 전문가라는 점은 ‘기대’를 갖게 하지만, 남북관계의 특수성보다 한-미동맹을 중시하는 보수성향의 국제정치학자라는 점은 ‘우려’된다는 것이다. 현 후보자는 “어려운 시기에 중책을 맡았으니 남북관계를 잘 풀어나가고 대통령의 철학을 잘 뒷받침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제주(55) △제주일고,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국제정치학 박사 △고려대 정외과 교수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 외교·통일·안보 분과위 위원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 미래외교·안보 분과 민간위원
이제훈 손원제 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