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은 12일 북한 핵 문제를 풀기 위해 북한의 핵 포기와 미국의 북 체제 안전보장을 동시에 실행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날 오후 한신대 개교 65돌 기념 초청강연에서 “북한은 핵을 완전히 포기하고 철저한 검증을 받아야 하며, 미국은 북한의 안전을 보장하고 경제 제재를 해제해야 한다”며 “서로 불신이 크기 때문에 동시에 실행해야 하며, 북·미가 이런 자세로 나올 때 6자 회담이 그 실천을 공동으로 담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국은 1991년 남북 간에 맺은 한반도 비핵화 선언의 당사자이기 때문에 이를 위반한 북한 핵 문제 처리에서도 당사자”라며 “북한에 대해 6자 회담 협력과 핵 포기를 종용하는 동시에, 미국에 대해서도 북한에 대한 유연한 태도 속에 핵 포기에 대한 대가를 분명하게 제시하도록 요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통령은 강연 뒤 학생들과의 문답에서 “북한은 남한을 좋은 의미로 활용해 고립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전제한 뒤, “북한이 남쪽을 방문하기로 한 약속을 지켜야 하고, 안 되면 휴전선 부근 도라산 역에라도 와서 남쪽과 대화를 나눠야 한다”며 남북 정상회담으로 핵위기를 풀자는 해법을 강조했다.
그는 대미관계에 대해선 “북한에서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만났을 때 ‘미국을 평화를 위해 이용해야 한다’고 했더니 김 위원장이 ‘미국은 통일 후에도 있어야 한다’고 말해, 놀란 적이 있다”며 “남북한 모두가 미국의 관계를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산/김기성,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