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룡 공동위원장(왼쪽), 강상현 공동위원장(오른쪽)
김우룡 “자문기구일 뿐…법안논의만”
강상현 “큰틀서 미디어 환경 진단을”
강상현 “큰틀서 미디어 환경 진단을”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가 13일 오전 첫 회의를 시작으로 ‘100일 장정’에 들어간다. 12일 여야 공동위원장으로부터 들어본 위원회 운영의 밑그림은 논의 의제에서부터 회의 공개 여부 등 절차상의 문제까지 크게 엇갈렸다. 한편 한나라당과 자유선진당은 미정이던 위원 명단을 이날 최종 확정·발표했다. 윤석홍 단국대 교수·최선규 명지대 교수·김영 전 부산 <문화방송> 사장·이병혜 전 <한국방송> 앵커(이상 한나라당). 문재완 한국외국어대 교수(자유선진당).
회의공개·공청회 필요없어
위원들 감투썼다 생각말라 ■ 김우룡 공동위원장(여당 추천·한국외국어대 교수) 김 위원장은 “위원회는 분명 자문기구”라며 선을 그었다. 그는 “위원회가 진지하고 폭넓은 논의의 장이 되도록 하겠다”면서도 “결정은 국회의원들이 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김 위원장은 “(기구 위상을 높게 설정해서) 위원들이 감투 쓴 것으로 생각해선 안 된다”는 말로 야당 위원들을 겨냥하기도 했다. 그는 논의 의제도 “한나라당 법안이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야당 쪽 의견처럼) 한국 언론 청사진을 전반적으로 그리려고 시도하면 위원회가 완전히 표류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위원회 운영의 기술적인 부분에서도 야당 쪽과 시각차가 컸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가 음모를 꾸미는 것도 아닌데 회의를 오픈하면 효율적 운영이 힘들다. 회의록 공개면 충분하다”며 야당의 회의 공개 요구에 반대했다. 지역 순회공청회 개최도 “시간도 충분치 않은데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미디어 이슈를 일반인에게 알리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공정한 역할 수행을 위해서”라며 이날 공정언론시민연대 대표직을 사임했다.
위상약화·폄훼 시도 안돼
폭넓은 여론수렴 반영해야 ■ 강상현 공동위원장(민주당 추천·연세대 교수) 강 위원장은 “위원회가 자문기구에 머물러선 안 된다”는 견해를 재확인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끊임없이 위원회의 위상을 약화시키거나 폄훼하려는 경향이 보인다”고 우려했다. 회의를 비공개하고 지역 순회공청회를 열지 않겠다는 데서부터 “논의 내용을 축소하고 은폐하려는 저의가 읽힌다”는 지적이다. 강 위원장은 ‘한나라당 안을 놓고 덧셈 뺄셈하자’는 여당 쪽 주장에도 뜻을 달리했다. 그는 “큰 틀에서 한국 사회의 미디어 환경 현실을 진단하고, 그 전제하에서 대안을 살피는 것이 상식적인 절차”라며 “한나라당 법안만 가지고 갑론을박하다 보면 논의는커녕 논쟁만 하다 끝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위원회가 여야 대리전 양상을 띨 것이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특정 법안의 찬반을 다투는 형식은 곤란하단 말도 덧붙였다. 그는 “위원들이 여야 대립 구도에 따라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하다 보면 충돌할 수밖에 없다.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되 당리당략에 휘둘리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위원들 감투썼다 생각말라 ■ 김우룡 공동위원장(여당 추천·한국외국어대 교수) 김 위원장은 “위원회는 분명 자문기구”라며 선을 그었다. 그는 “위원회가 진지하고 폭넓은 논의의 장이 되도록 하겠다”면서도 “결정은 국회의원들이 할 것”이라고 못박았다. 김 위원장은 “(기구 위상을 높게 설정해서) 위원들이 감투 쓴 것으로 생각해선 안 된다”는 말로 야당 위원들을 겨냥하기도 했다. 그는 논의 의제도 “한나라당 법안이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야당 쪽 의견처럼) 한국 언론 청사진을 전반적으로 그리려고 시도하면 위원회가 완전히 표류하게 된다”는 주장이다. 위원회 운영의 기술적인 부분에서도 야당 쪽과 시각차가 컸다. 김 위원장은 “위원회가 음모를 꾸미는 것도 아닌데 회의를 오픈하면 효율적 운영이 힘들다. 회의록 공개면 충분하다”며 야당의 회의 공개 요구에 반대했다. 지역 순회공청회 개최도 “시간도 충분치 않은데 고도의 전문성을 요하는 미디어 이슈를 일반인에게 알리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공정한 역할 수행을 위해서”라며 이날 공정언론시민연대 대표직을 사임했다.
위상약화·폄훼 시도 안돼
폭넓은 여론수렴 반영해야 ■ 강상현 공동위원장(민주당 추천·연세대 교수) 강 위원장은 “위원회가 자문기구에 머물러선 안 된다”는 견해를 재확인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끊임없이 위원회의 위상을 약화시키거나 폄훼하려는 경향이 보인다”고 우려했다. 회의를 비공개하고 지역 순회공청회를 열지 않겠다는 데서부터 “논의 내용을 축소하고 은폐하려는 저의가 읽힌다”는 지적이다. 강 위원장은 ‘한나라당 안을 놓고 덧셈 뺄셈하자’는 여당 쪽 주장에도 뜻을 달리했다. 그는 “큰 틀에서 한국 사회의 미디어 환경 현실을 진단하고, 그 전제하에서 대안을 살피는 것이 상식적인 절차”라며 “한나라당 법안만 가지고 갑론을박하다 보면 논의는커녕 논쟁만 하다 끝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위원회가 여야 대리전 양상을 띨 것이란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특정 법안의 찬반을 다투는 형식은 곤란하단 말도 덧붙였다. 그는 “위원들이 여야 대립 구도에 따라 자신들의 의견을 피력하다 보면 충돌할 수밖에 없다. 허심탄회하게 논의하되 당리당략에 휘둘리지 않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문영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