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잭 프리처드 전 미국 대북교섭 담당대사가 14일 서울 쉐라톤그랜드 워커힐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
프리처드 전 미 대북교섭대사
한국 대북지원 신중접근 강조도 열린우리당 산하 열린정책연구원 주관 세미나 참석을 위해 방한중인 잭 프리처드 전 미국 국무부 대북교섭 담당 대사는 14일, 전날 자신의 발표와 토론 과정에서 초래된 두 가지 ‘오해와 왜곡’에 대한 해명으로 회견을 시작했다. 하나는 한국의 대북지원을 자신이 경고했다는 보도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북한을 흡수하기 위한 의도가 있다고 발언했다는 것인데, 둘다 오해며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그러나 한국의 대북지원은 미국내에서 매우 ‘예민한 문제’라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한국의 대북지원은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서 봐야 하며 통일은 또한 주변국과의 협력이 필요한 문제다. 통일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는가의 관점에 선다면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부시 행정부나 미국 내부의 무조건적 지원에 대한 반대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 미국이 동의할 수 있는 투명성을 확보한 지원이 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는 이런 문제제기가 일부 언론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한국의 개성공단 사업에 대한 미국의 반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히려 개성공단 사업은 투명하며 “미국은 이를 포함해 비무장지대에서의 협력 사업에 대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오해인 중국의 북한흡수 의도와 관련한 자신의 발언에 대해서는 전날 토론과정에서 한 참석자가 자신에게 질문한 것일뿐 자신은 그에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고 못박았다. 그는 한국이 북한의 연착륙을 위해 노력해야겠지만 갑자기 ‘경착륙(붕괴)’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그는 “남북한의 통일은 북한의 현재 지도부가 퇴진할 때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또 다른 민감한 문제를 제기했다. 그의 말은 김정일의 퇴진은 한반도 통일의 시발점이라는 말로 들렸는데 어찌보면 지극히 당연한 말일 수도 있지만 프리처드 전 대사가 대북포용의 자세를 보여왔다는 점에서 본다면 의외의 발언이었다. 그는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책에 항의, 지난 2003년 8월 대북교섭담당 대사직을 사임한 뒤 현재 브루킹스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있다. 그는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개인적인 견해’임을 전제로 다음과 같이 부연설명을 했다. 북한은 지난 94년 7월 ‘첫번째 정권교체’를 했다. 당시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자 미국 등 많은 서방의 전문가들은 김정일 정권이 곧 붕괴할 것으로 예측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북한을 통치하고 있으며 건재하고 있다. 그는 20여년 이상 북한의 준비된 지도자였다. 이제 북한에서 ‘두번째의 정권교체’는 불가능하리라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김정일이 없는 북한은 상상할 수 없으며, 김정일이 퇴진한다면 그것은 (원하든 원치 않든) 남북한의 통일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북한, 6자회담 참가할 준비되어있어” 북한 방문한 커트 웰던 미 의원
한국 대북지원 신중접근 강조도 열린우리당 산하 열린정책연구원 주관 세미나 참석을 위해 방한중인 잭 프리처드 전 미국 국무부 대북교섭 담당 대사는 14일, 전날 자신의 발표와 토론 과정에서 초래된 두 가지 ‘오해와 왜곡’에 대한 해명으로 회견을 시작했다. 하나는 한국의 대북지원을 자신이 경고했다는 보도이고, 다른 하나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북한을 흡수하기 위한 의도가 있다고 발언했다는 것인데, 둘다 오해며 사실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그는 그러나 한국의 대북지원은 미국내에서 매우 ‘예민한 문제’라며 신중한 접근을 주문했다. “한국의 대북지원은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서 봐야 하며 통일은 또한 주변국과의 협력이 필요한 문제다. 통일이라는 목표에 부합하는가의 관점에 선다면 더 많은 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부시 행정부나 미국 내부의 무조건적 지원에 대한 반대에 대해서 고려해야 한다. 미국이 동의할 수 있는 투명성을 확보한 지원이 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물론 그는 이런 문제제기가 일부 언론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한국의 개성공단 사업에 대한 미국의 반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는 오히려 개성공단 사업은 투명하며 “미국은 이를 포함해 비무장지대에서의 협력 사업에 대한 한국 정부의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오해인 중국의 북한흡수 의도와 관련한 자신의 발언에 대해서는 전날 토론과정에서 한 참석자가 자신에게 질문한 것일뿐 자신은 그에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고 못박았다. 그는 한국이 북한의 연착륙을 위해 노력해야겠지만 갑자기 ‘경착륙(붕괴)’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은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 그는 “남북한의 통일은 북한의 현재 지도부가 퇴진할 때 시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해 또 다른 민감한 문제를 제기했다. 그의 말은 김정일의 퇴진은 한반도 통일의 시발점이라는 말로 들렸는데 어찌보면 지극히 당연한 말일 수도 있지만 프리처드 전 대사가 대북포용의 자세를 보여왔다는 점에서 본다면 의외의 발언이었다. 그는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책에 항의, 지난 2003년 8월 대북교섭담당 대사직을 사임한 뒤 현재 브루킹스 연구소의 연구원으로 있다. 그는 기자들의 질문이 이어지자 ‘개인적인 견해’임을 전제로 다음과 같이 부연설명을 했다. 북한은 지난 94년 7월 ‘첫번째 정권교체’를 했다. 당시 김일성 주석이 사망하자 미국 등 많은 서방의 전문가들은 김정일 정권이 곧 붕괴할 것으로 예측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북한을 통치하고 있으며 건재하고 있다. 그는 20여년 이상 북한의 준비된 지도자였다. 이제 북한에서 ‘두번째의 정권교체’는 불가능하리라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김정일이 없는 북한은 상상할 수 없으며, 김정일이 퇴진한다면 그것은 (원하든 원치 않든) 남북한의 통일이 시작된다는 뜻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강태호 기자 kankan1@hani.co.kr
“북한, 6자회담 참가할 준비되어있어” 북한 방문한 커트 웰던 미 의원
%%990002%%
커트 웰던 미국 하원 군사위 부위원장은 14일 “북한 지도부와 대화해 본 결과, 6자 회담에 참가할 준비가 돼 있다는 인상을 받았다”며 “지금대로 나간다면 몇 개월이 아니라 몇 주 안에 6자 회담이 재개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