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의 나경원 한나라당 간사(오른쪽)와 전병헌 민주당 간사가 6일 오전 국회 문방위 소회의실에서 언론법 처리와 관련해 간사회의를 하려고 만나 서로 다른 곳을 바라보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비정규직 대책 마련을 위해 6일 소집된 국회 환경노동위원회는 이영희 노동부 장관이 현안보고 출석을 거부하고 한나라당 의원들도 불참하는 등 파행을 빚었다.
민주당 추미애 환노위원장의 직권으로 열린 이날 오후 전체회의는 비정규직법 시행 이후 보완책 등과 관련한 이 장관의 현안보고를 듣기 위한 자리였다. 그러나 회의는 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의원 등 4명만 참석한 채 47분 만에 끝났고, 이후 환노위 정상화를 위한 여야 간사단 협의도 절충점을 찾지 못했다.
이 장관은 환노위에 공문 한장만 보냈다. 이 장관은 공문에서 “환노위 위원장이 속하지 않은 교섭단체 간사(한나라당)로부터 국회법 121조에 의거해 국무위원 출석요구가 의결되지 않았음을 통보받았고, 회의 일정 통보가 금일 오전에 이뤄져 장차관 일정 조정이 어렵다”고 밝혔다.
야당은 이 장관이 국회까지 무시하며 비정규직 문제를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김재윤 민주당 환노위 간사는 “장관이 (못 오는) 일정이 뭔지 물어보니 인터뷰가 있다고 한다”며 “비정규직 대책을 세우는 것보다 더 시급한 일정이 어디 있느냐”고 비판했다. 민주당 김상희 의원도 “노동부 장관은 100만 해고설 운운하다 거짓말이 탄로났고, 공공부문 기획 해고도 적나라하게 하고 있다”며 “이 장관은 즉각 사퇴하라”고 말했다. 추 위원장은 “국무위원 출석요구 의결은 (본회의 출석요구 건으로) 본회의 때 의결하거나, 상임위별로 (국무위원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할 때 의결하는 정도”라고 반박하며 “국민적 관심사안에 대해 장관이 현안보고하러 오는 건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애초 이날 오후 3시30분에 단독 상임위 소집을 요구했으나, 오후 3시께 추 위원장 직권으로 회의가 열리자 불참했다. 한나라당 조원진 환노위 간사는 “추 위원장이 일방적으로 회의를 소집해 응하지 않은 것”이라며 “환노위 회의는 한나라당이 지난 1일 비정규직법 (3년 유예) 개정안을 상정한 게 유효하다고 전제한 뒤 그 개정안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당시 한나라당의 단독상정 시도가 추 위원장의 사회권을 강탈한 불법행위였다며 원천무효라고 맞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나라당은 이날 의원총회에서 비정규직법 시행의 ‘1년6개월 유예안’을 당론으로 정했다. 그러나 민주당과 민노당, 창조한국당 등 야당은 비정규직법이 이미 시행된 만큼, 이젠 4월 추경 때 편성한 1185억원의 정규직 전환 지원금 집행 등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며 ‘유예 논의’에 반대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