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 민주당 최고위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산하 전체 공공기관장의 출신 지역’에 대한 자료를 든 채 이명박 정부의 특정 지역 편중 인사를 비판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 ‘공직자 출신지’ 분석
“MB 장차관급 인사 영남 39.5% 호남 16.3%
청와대 수석비서관 영남 45% 호남 10%”
한나라 “참여정부때도 영남출신 많았다”
“MB 장차관급 인사 영남 39.5% 호남 16.3%
청와대 수석비서관 영남 45% 호남 10%”
한나라 “참여정부때도 영남출신 많았다”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이뤄진 대부분의 정부 고위직 인사에서 영남 출신 비율이 30~4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 영남 편중 인사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국토해양부 산하 공공기관 30개 가운데 영남 출신 인사가 절반인 15명에 이르는 등 정부 산하 공공기관의 지역 편중이 심한 것으로 집계됐다.
박주선 민주당 최고위원은 10일 기자회견을 열어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임명된 청와대 수석비서관급(20명), 정부 부처의 장관급(36명)과 차관급(91명), 공공기관장(226명) 등 총 373명의 출신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박 최고위원의 자료를 보면, 이 대통령이 취임한 2008년 2월부터 2009년 6월30일까지 청와대와 정부 부처, 각 정부 위원회의 장차관급 인사 147명 가운데 영남 58명(39.5%), 수도권 28명(19%), 충청 24명(16.3%), 호남 24명(16.3%)으로 나타났다.
전날 한나라당 장광근 사무총장이 발표한 자료에서도 2008년 2월부터 2009년 7월31일까지 임명된 장차관급 이상 인사 157명 가운데 영남 출신은 55명(35%), 수도권 33명(21%), 호남 29명(18.5%), 충청 25명(15.9%) 차례로 나타났다. 두 당의 조사가 약간 차이를 보이는 것은 두 당의 조사 기준과 시점 등이 다르기 때문으로 보인다.
민주당 조사 결과, 청와대에선 비서실장·대변인·정무수석 등 수석비서관급 이상의 직책을 거쳐 간 20명 중 영남 출신이 9명(47.4%)을 차지했고 서울 7명(35%), 호남 2명(10%), 충청 1명(5%) 등의 차례였다. 정부 부처의 경우 장관급 36명에선 영남 13명(36.1%), 호남 6명(16.7%), 충청 6명(16.7), 서울 4명(11.1%), 기타 4명(11.1%) 등으로 나타났다. 차관급 91명에서도 영남은 36명(39.6%), 충청 17명(18.7%), 호남 16명(17.6%), 서울 13명(14.3%) 등이었다.
대구·경북 등 ‘티케이’(TK) 쏠림 현상은 이른바 4대 권력기관 중 검찰을 뺀 국가정보원·감사원·국세청의 장차관급 인사에서도 도드라졌다. 이들 기관 3곳의 장차관급 인사 15명 중 대구·경북은 5명(33%)이나 됐다. 그다음은 충남 3명, 호남 3명, 경기 2명, 경남 1명 차례이다. 이 가운데 국정원의 경우 원장과 차장, 기조실장을 지낸 장차관급 9명 중 대구·경북 출신이 3명이었다. 나머지는 경기 2명에 경남·전북·충남·서울은 모두 각 1명이었다.
정부 산하 공공기관에서도 영남 출신의 인사 편중이 뚜렷했다. 전체 297개 공공기관 중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새로 공공기관장이 임명된 곳은 모두 226곳인데, 이 중 영남 출신이 95명(42%)이고, 서울 42명(18.6%), 충청 34명(15.1%), 호남 30명(13.3%), 경기 10명(4.4%)으로 조사됐다. 공공기관 중에서는 국토해양부 산하 기관의 영남 출신 비율이 가장 높았다. 산하 공공기관장 30여명 중 영남 출신이 15명(50%)이나 됐으며, 충청 5명, 서울 4명, 호남과 경기가 각 2명이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지역별 인사 차별이 심각하다는 얘기를 듣고 지난달부터 조사를 진행해 왔다”며 “참여정부 시절과 비교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 이명박 정부가 행한 인사만 봐도 지역 차별 인사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장광근 한나라당 사무총장은 “참여정부 때도 영남 출신이 많았는데 왜 전 정권하고 비교하지 않느냐”며 “어느 정권이나 인사를 하면 인구 비례에 따르지 않느냐”고 반박했다.
이유주현 김지은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