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정세균 대표(왼쪽 셋째)와 최고위원들이 24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을 추모하는 묵념을 하고 있다.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민주당은 24일 정부·여당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화해와 통합의 뜻을 받들려면 사회적 갈등과 상처를 치유하려는 자세부터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영길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전임 대통령의 업적을 기리겠다고 한다면 이제 ‘잃어버린 10년’이란 말로 더이상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정권의 역사를 부정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7개월째 계속되는 용산참사 문제조차 해결하지 않고 통합을 말하는 건 말도 안된다”며 “유족과 대화부터 하라”고 요구했다.
김진표 최고위원도 “이명박 정부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외환위기를 조기에 극복할 때 펼친 따뜻한 시장경제, 친서민·친중산층 시장경제 리더십을 배워야 한다”며 “김 전 대통령이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계파와 정파를 가리지 않고 유능한 사람을 썼던 탕평인사를 국정에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희정 최고위원은 “화합과 통합을 이명박 대통령 본인이 말하면 경우없는 말씀”이라고 비판했다. 여권이 화해와 통합을 야권에서 먼저 풀어야 한다는 식으로 얘기하는 건 적반하장이라는 얘기다.
민주당은 또 ‘무효 논란’이 거센 언론법 강행처리 등과 같은 민감한 사안이 전혀 해결되지 않은 채 여당이 ‘화해·통합론’을 앞세워 야당의 항복을 받아내려 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김 전 대통령 서거를 계기로 우리 사회에 확산되는 화해와 통합의 분위기는 환영한다”면서도 “여야, 국민과 정부 사이에 놓인 갈등과 쟁점들이 다 없던 일처럼 치부하는 식으로 국면을 활용하는 건 옳지 않다”고 말했다. 우 대변인은 이어 “마치 그것이 장외로 쫓겨나온 야당이 해결해야할 문제인 것처럼 접근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된 얘기”라며 “문제를 풀어야할 주체들이 통합과 화해, 용서의 정신을 배우고 실천해야한다고”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