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총리후보자 위증 논란
1차해명 뒤집고 2차해명…소득 늘려 맞춰
증빙자료 내지않은채 무작정 “믿어달라”
국세청에 허위신고 했다고 주장하는 셈
증빙자료 내지않은채 무작정 “믿어달라”
국세청에 허위신고 했다고 주장하는 셈
청문회 당일(22일) 해명을 ‘3일 뒤’ 스스로 뒤집었다. 정운찬 국무총리 후보자는 청문회 때 “유명한 회계사에게 의뢰해 작성한 자료”라고 말했으나, 민주당이 의혹을 물고늘어진 25일엔 “1차 자료는 실무자 착오였다”며 2차 소명자료를 냈다. 그런데 청문회 당일 답변과, 3일 뒤‘이게 정답’이라며 고쳐 낸 2차 자료 모두 정 후보자가 이미 국세청에 공식 신고한 금액과 또 다르다.
■ 무슨 의혹인가 정 후보자는 2006년~2008년 종합소득신고 내역에서 3년간 지출(9억4300만원)이 수입(9억100만원)보다 4200만원 많은데도, 오히려 예금이 3억2000만원이나 늘어났다. 최소한 3억6000여만원의 숨긴 수입이 있을 것이란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강운태 민주당 의원은 “돈이 하늘에서 떨어졌나”라고 묻고 있다.
■ 말 바꾼 정운찬 후보자 정 후보자가 청문회에 처음 낸 자료와 2차 해명자료는 곳곳에서 충돌한다.
그는 청문회 때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뒤 2009년 소득을 더하면, 4억5900만원이 실제 순소득으로 남는다고 답했다. 그러니 최근 3년간 3억2000여만원의 예금이 늘어난 것은 당연하다는 것이다. 그런데, 2차 소명에선 실제 순소득 4억5900만원이 3억5000만원으로 바뀌었다. 민주당은 예금액 증가 3억2000여만원과 비슷하게 맞추려고 애쓴 흔적이라며 의심의 눈초리를 보낸다.
정 후보자는 청문회 때 2006년부터 2008년까지의 필요경비(연구용역 등을 통한 사업소득을 얻기 위해 필수적으로 지출하는 회의비·인건비·출장비 등) 지출이 700만원 뿐이라고 했으나, 국세청에 이미 신고한 필요경비 금액과 2억원 가까이 차이가 난 탓인지 3500만원으로 조정했다. 지출 경비를 조금 늘린 대신 2009년 소득을 애초 1억2000만원이라고 말했다가, 2차 자료에선 1억7000만원으로 순식간에 5천만원이나 증가시켰다. 그러나 정 후보자는 이에 대한 구체적 증빙자료를 첨부하지 않은 채 믿어달라고 요구했다. 또 청문회에선 2009년 해외소득에서 해외자문료가 없다고 했으나, 2차 자료를 내면서 해외자문료가 있음을 인정했다.
■ 국세청에 허위 신고? 민주당과 정 후보자의 금액이 어긋나는 핵심은 필요경비 계산의 차이다. 민주당은 후보자가 연구용역 등을 위해 지출한 필요경비가 2008년 1억7465만원을 포함해 최근 3년간 2억2883만이나 되기 때문에 지출이 수입보다 많게 나온 주된 이유라고 주장해 왔다. 반면 정 후보자는 필요경비를 애초 700만원에서 3500만원으로 늘리기는 했으나, 여전히 민주당 주장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대해 국세청은 지난 25일 청문특위에 낸 답변서에서 필요경비와 관련해 민주당의 주장이 맞다고 손을 들어줬다. 국세청은 “정 후보자가 신고한 종합소득세 신고사항에 따르면…”이란 설명까지 달아줬다.
정 후보자의 2차 자료와 국세청에 애초 신고한 금액과의 차이에 대해서 이병용 정 후보자 청문준비팀장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2차 자료가 최종적으로 공인회계사 검증을 받은 것이며 충분히 소명됐다고 본다”고만 답했다. 이에 강운태 민주당 의원은 “2차 소명이 맞다고 인정한다면 1차 소명자료와 국세청 신고금액이 모두 허위라는 것이 된다”고 말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정 후보자가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며 “정 후보자가 낙마하지 않으면 그간 낙마한 사람들이 억울해할 정도로 의혹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정세균 민주당 대표는 “정 후보자가 이 정도일 줄은 몰랐다”며 “정 후보자가 낙마하지 않으면 그간 낙마한 사람들이 억울해할 정도로 의혹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