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석회의 월권문제·잇단 정치행보 등 따져
국회 정무위원회의 19일 국민권익위원회(권익위) 국정감사는 ‘이재오 청문회’를 방불케 할 만큼 이재오 위원장에 대해 따가운 비판이 쏟아졌다.
권익위·감사원·검찰·경찰·국세청 등 5개 ‘반부패기관 연석회의’ 정례화 방침이 도마에 올랐다. 박선숙 민주당 의원은 “이 위원장이 주장한 ‘5개 기관 연석회의’는 현행법 아래에서는 법적 근거가 없는 월권이며, 정권 실세가 월권을 행사하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이라고 말했다.
597개 기관의 감사들을 한꺼번에 소집해 눈길을 끌거나 현장 방문, 발언 등 위원장의 일상을 권익위 누리집에 자세히 싣는 정치적 행보도 비판을 받았다. 이성남 민주당 의원은 “권익위는 정당활동을 금지하는데도 이 위원장은 취임과 함께 권익위 홈페이지에 위원장 공식홈페이지(조이)를 배너 형태로 걸어 놓았고 (조이에는) 한나라당 홈페이지도 링크돼 있다”며 “선관위에 유권해석을 의뢰해 문제 있다고 하면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유원일 창조한국당 의원은 “경인운하 관련 민원이 없는데도 이 위원장이 현장에 가기 때문에 ‘소통령’이니, ‘대통령급 위원장’이니 하는 말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선숙 의원은 “이 위원장이 취임과 함께 측근을 권익위로 데려가 자신의 운전원으로 썼다”며 “그 때문에 권익위의 기존 기능직 운전원이 면직된 것을 아느냐”고 따졌다.
이날 국감에서 이 위원장은 “권익위를 총리실 소속에서 대통령 소속 기관으로 바꾸는 논의가 내부적으로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권익위를 대통령 소속으로 바꾸는 게 좋겠다는 공성진 한나라당 의원의 질문에 이렇게 답하며 “이는 법 개정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성연철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