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서 민심변화 기류
송인배 민주당 후보가 한나라당 텃밭에서 여당 대표를 지낸 거물인 박희태 한나라당 후보와 맞붙어 격전을 치를 수 있었던 것은 ‘노무현의 힘’덕분이었다.
노 전 대통령의 사후 ‘따뜻해진’ 분위기는 영남권에서 ‘노무현 사람들’의 활동 공간을 넓혀줬다. 안희정 민주당 최고위원은 선대위원장을 맡아 양산에서 내내 살았다. 선거운동 지원차 자주 양산을 찾은 한명숙·이해찬 전 총리, 유시민 전 장관 등도 유권자들의 ‘환영’을 받았다. 문재인 전 비서실장도 직접 유세에 나서진 않았지만 성심성의껏 선거를 도왔다. 친노신당파인 이병완 전 대통령실 실장, 천호선 전 청와대 홍보수석도 마찬가지였다. 이런 노력과 분위기에 힘입어 선거 초반에 상대적으로 인지도가 낮아 고전했던 송 후보는 민심을 달구며 박 후보를 마지막까지 맹추격했다. 그는 ‘노무현 가문의 막내아들’로서, 엠비(MB)심판, 복수투표 등을 구호로 내세우며 ‘이명박 대 노무현’ 구도를 만들었다.
송 후보의 선전은 친노 인사들에게 희망이 싹이다. 한나라당 텃밭인 영남에서도 가능하다는 조짐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민주당의 한 친노 인사는 “잘만 하면 영남에서 민주당 간판을 달아도 이길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정세균 민주당 대표도 “송 후보의 선전으로 내년 지방선거에서 영남 친노 세력을 영입하는 것이 좀더 쉬워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번 선거가 친노신당파와 민주당 두 갈래로 갈라진 친노 진영을 하나로 묶는 끈으로 작용할 것 같지는 않다. 연말 창당을 준비하고 있는 친노신당 인사들은 “송 후보를 도운 것은 민주당과 전혀 상관없이 참여정부 때 함께 했다는 개인적 인연 때문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친노신당의 한 핵심 인사는 “우리는 반엠비(MB)연합을 할 수 있지만 본질적으로 이념과 가치가 민주당과 전혀 다르다”며 “창당 작업은 그냥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