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공격적 방어’]
이명박 대통령은 4대강 사업 비판을 ‘반대를 위한 반대’로 규정하며 매우 공격적으로 방어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사업으로 생태계가 악화될 수 있다는 토론자의 지적에 대해 “보를 설치하면 수질이 악화된다고 하는데, 그건 30~40년 전 대한민국 기술 수준이라면 그럴 수 있지만 지금 대한민국의 강 복원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지금 (4대강 사업을) 반대하는 사람들도 상당수는 다 알면서 반대할 거라고 생각한다”며 “경부고속도로를 만들 때도 야당·정치권에선 목숨걸고 반대했다. 청계천 복원할 때도 특히 환경(전공)하는 사람들이 많이 반대 했지만 공사 완공한 다음엔 다 찬성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4대강 예산을 복지 분야에 쓰라”는 야당의 주장에 대해서도 “그냥 복지에 쓰라고 하는 건 포퓰리즘 아니냐. 이건 꼭 경부고속도로 건설할 때 복지에 쓰라고 하는 것과 같다”고 반박했다.
이 대통령은 또, “김대중 정부 때 태풍 때문에 200여명이 죽자 전 부처가 모여서 2004년부터 43조원을 투입해 강을 살리자는 계획서가 통과됐고, 노무현 정권 들어서도 태풍에 피해를 입자 2007년부터 10년 안에 87조원을 들여서 피해를 줄이자고 했다”며 “오래 전에 43조, 87조를 넣어서 해야겠다고 할 때는 아무도 반대 안 했다. 그런데 내가 20조 들여 하는 건 왜 하냐고 반대한다”고 말했다.
‘속도’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물 분야는 내가 좀 안다. 하다가 말고 하다가 말고 하지 말고 할 때 일을 빨리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은 “대운하가 성공해서 어떤 걱정거리가 생기는 줄 모르겠지만 이제 와서 운하를 하는 것이 아니냐고 하는데 하려면 다음 정권이 하는 것이고, 제가 할 게 아닌데 뭐라고 대답하겠느냐”고 말해, 4대강 사업 이후 다음 정권에서 운하로 바꿀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이어 그는 “유럽에선 고속도로 대신 운하 만드는 계획을 발표하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지구온난화 등에 대해 유럽 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이런 문제는 다음, 차기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고 저는 시급한 4대강을 복원하겠다고 한 것”이라며, ‘운하 사업'을 임기 중에 못하는 것을 아쉬워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