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롤리스 부차관보 극비 방한
“전략적 유연성등 미국쪽 요구 수용 안할땐” 리처드 롤리스 미국 국방부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부차관보가 지난 4~6일 한국을 극비리에 방문해 외교통상부와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을 잇달아 만났으며, ‘주한미군을 철수할 수도 있다’는 협박성 발언을 한 것으로 8일 알려졌다. 외교부와 국방부 등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롤리스 부차관보는 “한국의 전략적 가치는 끝났다”며 전략적 유연성을 비롯한 최근 한-미 간의 현안과 관련해 미국 쪽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주한미군을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롤리스 부차관보는 또 지난달 31일 주미 한국대사관을 방문해 홍석현 대사에게, 한국 정부의 동북아 균형자론은 한-미 동맹과 양립할 수 없는 개념이라고 말했다고 <서울신문>이 8일 보도했다. 그는 또 만일 동맹을 바꾸고 싶다면 언제든지 말하라고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롤리스는 현재 미국 의회 등에서 한국이 원하지 않는다면 무엇 때문에 미군을 주둔시키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이대로 가다가는 주한미군이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밝힌 것으로 신문은 보도했다. 그는 ‘작전계획 5029’ 논의 중단이 한국 언론에 보도된 것과 관련해 강하게 불만을 터뜨린 것으로 신문은 전했다. 그러나 외교통상부는 이날 보도 참고자료를 내 “홍 대사가 지난달 31일 예방인사를 희망해 온 롤리스 부차관보를 접견한 바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두 사람의 면담 내용을 확인해줄 수는 없으나 예방 성격에 맞는 대화였다”고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롤리스의 발언 내용으로 미루어 오는 11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한-미 동맹, 전략적 유연성 등과 관련해 강한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이처럼 전략적 유연성과 관련해 한국에 강한 압력을 넣는 배경은, 미국과 일본의 주일미군 재배치 협상이 일본 쪽 반대로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자, 한국을 먼저 압박해 미국 쪽 뜻대로 관철시킨 뒤, 이를 지렛대로 다시 일본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성한용 유강문 기자 shy99@hani.co.kr
“전략적 유연성등 미국쪽 요구 수용 안할땐” 리처드 롤리스 미국 국방부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부차관보가 지난 4~6일 한국을 극비리에 방문해 외교통상부와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을 잇달아 만났으며, ‘주한미군을 철수할 수도 있다’는 협박성 발언을 한 것으로 8일 알려졌다. 외교부와 국방부 등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롤리스 부차관보는 “한국의 전략적 가치는 끝났다”며 전략적 유연성을 비롯한 최근 한-미 간의 현안과 관련해 미국 쪽 요구를 수용하지 않을 경우 주한미군을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롤리스 부차관보는 또 지난달 31일 주미 한국대사관을 방문해 홍석현 대사에게, 한국 정부의 동북아 균형자론은 한-미 동맹과 양립할 수 없는 개념이라고 말했다고 <서울신문>이 8일 보도했다. 그는 또 만일 동맹을 바꾸고 싶다면 언제든지 말하라고 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롤리스는 현재 미국 의회 등에서 한국이 원하지 않는다면 무엇 때문에 미군을 주둔시키느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이대로 가다가는 주한미군이 철수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다고 밝힌 것으로 신문은 보도했다. 그는 ‘작전계획 5029’ 논의 중단이 한국 언론에 보도된 것과 관련해 강하게 불만을 터뜨린 것으로 신문은 전했다. 그러나 외교통상부는 이날 보도 참고자료를 내 “홍 대사가 지난달 31일 예방인사를 희망해 온 롤리스 부차관보를 접견한 바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두 사람의 면담 내용을 확인해줄 수는 없으나 예방 성격에 맞는 대화였다”고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롤리스의 발언 내용으로 미루어 오는 11일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지 부시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한-미 동맹, 전략적 유연성 등과 관련해 강한 압박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이 이처럼 전략적 유연성과 관련해 한국에 강한 압력을 넣는 배경은, 미국과 일본의 주일미군 재배치 협상이 일본 쪽 반대로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자, 한국을 먼저 압박해 미국 쪽 뜻대로 관철시킨 뒤, 이를 지렛대로 다시 일본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성한용 유강문 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