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일축전 상징성 더해
장관급 회담 순풍 기대 오는 14~17일 평양에서 열리는 민족통일대축전에 참석하는 남북 당국 대표단의 면면을 보면, 이번 행사가 갖는 ‘상징성’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애초 지난달 차관급 회담에서 70명으로 합의했던 남쪽 당국 대표단 규모는 북쪽의 축소 요구를 받아들여, 지원인력을 포함한 대표단 30명과 자문단 10명 등 모두 40명으로 정해졌다. 남쪽에서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모두 8명의 대표가 파견된다. 임동원 세종연구소 이사장과 박재규 경남대 총장, 정세현 이화여대 석좌교수 등 3명의 전직 통일부 장관과 최학래 한겨레신문사 고문, 김보현 전 국무총리 등도 자문단의 일원으로 방북한다. 북쪽에선 정 장관의 상대격인 권호응 장관급 회담 북쪽 단장보다 고위급인 김기남(79·사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 단장으로 나섰다. 6·15 민족통일대축전 행사의 북쪽 당국 대표단 단장인 김기남 조평통 부위원장은 노동당 선전선동 담당 비서를 맡고 있는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정부 당국자는 12일 “김 부위원장이 단장으로 나온 것은 임동원·박재규·정세현 전 장관 등 이번 행사에 참석하는 남쪽 원로급 인사들에 대한 배려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의 비중으로 보면, 노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정 장관에 대한 배려일 수도 있다. 그밖에 김만길·신병철·전종수 등 장관급 회담의 다른 대표들도 대표단에 포함됐으며, 각종 남북대화 핵심 실무책임자들이 대거 대표단에 이름을 올렸다. 또 남북회담 협상의 주역으로 꼽히는 림동옥 조평통 부위원장과 전금진 내각 책임참사, 김완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 서기국장 등 중량급 인물들은 남쪽과 마찬가지로 자문위원에 배치됐다. 북쪽의 이른바 ‘대남라인’ 대부분이 이번 행사에 모습을 드러내는 셈이다. 정부 당국자는 “북쪽 대표단의 면면을 보면, 이번 행사가 실질적이고 의미있게 치러질 수 있도록 북쪽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며 “6·15 기념행사가 처음으로 당국 대표단이 파견된 가운데 치러지는 만큼, 곧 이어지는 장관급 회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14일 오후 전세기 편으로 방북하게 될 대표단은 북쪽 대표단과 네차례 오·만찬을 함께 하는 한편, 16일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예방할 예정이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장관급 회담 순풍 기대 오는 14~17일 평양에서 열리는 민족통일대축전에 참석하는 남북 당국 대표단의 면면을 보면, 이번 행사가 갖는 ‘상징성’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애초 지난달 차관급 회담에서 70명으로 합의했던 남쪽 당국 대표단 규모는 북쪽의 축소 요구를 받아들여, 지원인력을 포함한 대표단 30명과 자문단 10명 등 모두 40명으로 정해졌다. 남쪽에서는 정동영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모두 8명의 대표가 파견된다. 임동원 세종연구소 이사장과 박재규 경남대 총장, 정세현 이화여대 석좌교수 등 3명의 전직 통일부 장관과 최학래 한겨레신문사 고문, 김보현 전 국무총리 등도 자문단의 일원으로 방북한다. 북쪽에선 정 장관의 상대격인 권호응 장관급 회담 북쪽 단장보다 고위급인 김기남(79·사진)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이 단장으로 나섰다. 6·15 민족통일대축전 행사의 북쪽 당국 대표단 단장인 김기남 조평통 부위원장은 노동당 선전선동 담당 비서를 맡고 있는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정부 당국자는 12일 “김 부위원장이 단장으로 나온 것은 임동원·박재규·정세현 전 장관 등 이번 행사에 참석하는 남쪽 원로급 인사들에 대한 배려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의 비중으로 보면, 노 대통령의 신임을 받는 정 장관에 대한 배려일 수도 있다. 그밖에 김만길·신병철·전종수 등 장관급 회담의 다른 대표들도 대표단에 포함됐으며, 각종 남북대화 핵심 실무책임자들이 대거 대표단에 이름을 올렸다. 또 남북회담 협상의 주역으로 꼽히는 림동옥 조평통 부위원장과 전금진 내각 책임참사, 김완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중앙위 서기국장 등 중량급 인물들은 남쪽과 마찬가지로 자문위원에 배치됐다. 북쪽의 이른바 ‘대남라인’ 대부분이 이번 행사에 모습을 드러내는 셈이다. 정부 당국자는 “북쪽 대표단의 면면을 보면, 이번 행사가 실질적이고 의미있게 치러질 수 있도록 북쪽이 상당한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보인다”며 “6·15 기념행사가 처음으로 당국 대표단이 파견된 가운데 치러지는 만큼, 곧 이어지는 장관급 회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14일 오후 전세기 편으로 방북하게 될 대표단은 북쪽 대표단과 네차례 오·만찬을 함께 하는 한편, 16일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예방할 예정이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