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권 갈등 새 국면…박지원 비대위원장에
민주당 지도부가 2일 7·28 재보궐선거 참패의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이날 밤 영등포 당사에서 최고위원회를 열어 송영길·김민석·박주선·안희정·김진표 등 선출직 최고위원들이 모두 사퇴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차기 지도부가 꾸려질 때까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하기로 하고, 비상대책위원장은 박지원 원내대표가 맡기로 했다. 이로써 7·28 재보선 뒤 지도부 총사퇴를 주장해온 비주류의 요구가 받아들여졌으며, 당내 갈등은 일단 봉합 국면으로 들어섰다.
이날 밤 최고위원회의에서 정세균 대표와 안희정 충남지사 등 주류 측은 “대표 사퇴 여부로 지도부의 공백이 있어선 안 된다”면서 김민석 최고위원의 대표직 승계를 주장했으나, 송영길 인천시장과 박주선 최고위원, 박 원내대표는 총사퇴 뒤 비대위 구성을 주장했다.
노영민 대변인은 회의가 끝난 뒤 “현 최고위원들이 2년 임기를 채웠고 일부이지만 전당대회가 공정하게 치러져야 한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어 이런 기회에 최고위원들이 동반 사퇴하는 것이 옳다는 것으로 중지가 모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정세균 대표는 이날 아침 최고위원회가 끝난 뒤 성명을 내 “두번의 재보선과 6·2 지방선거에서 승리했지만, 7·28 재보선은 패배했다. 대표로서 책임지는 자세가 필요하다”며 사퇴를 선언했다. 정 대표는 이와 함께 “대표 사퇴 여부로 당력을 소모할 여유가 없고 당이 분란 상태에 빠져서도 안 된다. 지도부 공백이 있어서는 안 된다”며 전당대회 때까지 현 지도부가 유지돼야 한다는 뜻을 밝혔다.
그동안 비주류인 ‘민주희망 쇄신연대’는 정 대표의 사퇴뿐 아니라 지도부 총사퇴와 비상대책위원회 구성을 요구해 왔다. 이들은 이러한 요구가 받아들여질 때까지 전대준비위에 참여하지 않겠다며 거듭 압박했다. 실제로 비주류쪽은 이날 처음 열린 전당대회준비위원회에도 불참해 파행을 빚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