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뼘정치
14일 이후 땐 국고보조금 1억7찬만원 더 받게 돼
14일 이후 땐 국고보조금 1억7찬만원 더 받게 돼
한나라당과 미래희망연대(옛 친박연대)의 합당 속도가 의외로 더디다. 두 당은 지난달 14일 한나라당 전당대회에서 합당안을 의결해 곧 ‘호적정리’가 끝날 듯했다. 그러나 아직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합당신청서를 내지 않고 있다.
정치권에선 정당 국고보조금과 관계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까지 흘러나온다. 오는 13일 선관위가 정당에 주는 ‘3/4분기 국고보조금’을 합당 전에 각자 받으면 주머니가 좀더 두툼해진다는 계산 때문이다.
선관위에 따르면, 두 당이 13일까지 합당하지 않으면 한나라당은 32억5000만여원, 미래희망연대는 5억4000만여원을 받는다. 어차피 한 식구가 될 두 당의 보조금을 합하면 37억9000만여원. 하지만 두 당이 합당해서 받는 보조금은 36억2000만여원이다. 합당을 조금 늦추면 1억7000만여원을 더 챙기게 되는 셈이다.
이에 대해 노철래 미래희망연대 원내대표는 “양 당이 직원, 자산문제 등을 결정해야 하는데, 7·28 재보선 등이 있어 늦어진 것이지 보조금을 받으려고 미루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살림살이가 넉넉하지 않은 야당의 눈초리는 곱지 않다. 약 81억원의 ‘3/4 분기 보조금’을 정당들이 교섭단체 구성 여부, 의석수 등에 따라 나눠 갖는 상황에서 두 당이 합당 절차를 빨리하면 1억7000만여원이 야당 몫이 되기 때문이다.
송호진 성연철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