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종교계 원로들이 2012년 총선과 대선을 위한 ‘범야권 연대협상기구’의 연내 발족을 야당들에 제안하기로 해 6·2 지방선거 이후 막힌 연대논의에 물꼬가 트일지 관심을 모은다.
4대 종단 원로들과 재야 인사들로 이뤄진 ‘민주통합시민행동’의 이형남 공동상임운영위원장은 25일 “야 5당(민주당·민주노동당·창조한국당·진보신당·국민참여당) 대표와 시민사회·종교계 원로들이 모이는 지도자 연석회의를 11월 중순까지 개최하고, 연내에 실무협상기구를 발족해야 한다고 종교계, 재야인사들이 뜻을 모았으며, 이를 야당들에 제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가깝게는 내년 4월 재보궐 선거도 있어 연대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복 전 의원 등 재야 원로와 이해동 목사, 효림 스님, 김홍진 신부, 원불교 정상덕 교무 등은 오는 28일 민주통합시민행동 창립 1돌 기념식에서 이런 내용의 결의문을 발표한다. 이날 행사엔 민주당 손학규, 민노당 이정희, 진보신당 조승수 대표 등 지방선거 전후로 당선된 야당 신임대표들이 한자리에 모인다.
그러나 각 야당들의 처한 상황 탓에 당장 야권연대 논의에 탄력이 붙을지는 불투명하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취임 이후 민생현장 방문엔 속도를 내왔으나, 당내 연대·통합 추진기구 설치와 같은 구체적 연대 프로그램은 아직 내놓지 않고 있다. ‘야권단일정당론’을 주창했던 이인영 최고위원도 “너무 서두르면 오발탄이 날 수 있다”며 속도조절을 하고 있다.
지방선거 당시 연대협상에서 탈퇴했던 진보신당이 다시 참여할 가능성도 높아 보이진 않는다. 진보신당 관계자는 “우린 진보진영 재편이 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