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2월 국회전” 청 “국회 정상화뒤”
김무성 “27개월간 안만난건 문제” 압박
김무성 “27개월간 안만난건 문제” 압박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민주당 대표의 청와대회담 개최 시기를 둘러싼 청와대와 민주당의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다.
손 대표의 비서실장인 양승조 민주당 의원은 8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민주당이 영수회담을 구걸하는 것은 아니지만, 2월 국회가 열리기 전에 영수회담을 열어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예산안 (강행)처리에 대해 성의 있는 표명을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하지만 청와대는 (먼저) 국회가 정상화한 다음에 영수회담을 열자고 하고 있어 더 협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 의원은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과 접촉하는 창구를 맡고 있다.
민주당은 2월 국회에 등원하기로 의견을 모았지만, 청와대회담에서 대통령이 여당의 예산안 일방처리에 대한 유감 정도의 표시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기류다. 민주당 핵심 당직자는 “청와대로선 국회 개원 전에 영수회담이 열리면 예산안 날치기에 대해 유감표명을 해야 한다는 부담이 있고, 만약 회담에서 유감표명을 하지 않으면 국회 정상화를 가로막았다는 비난을 받을 수 있어 이래저래 2월국회가 열리기 전에 영수회담을 원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국회 정상화 이전에 대통령과 야당대표 간의 청와대회담을 여는 것에 대한 청와대의 미온적인 태도에 대해 여당에서조차 조기 개최를 압박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대통령과 제1야당의 당 대표가 2년3개월 동안 만나지 않았다는 건 우리 정치의 큰 문제”라며 “영수회담이 국회 개원의 조건은 아니었으나,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영수회담을) 하시겠다고 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여야 원내대표 협상에서) 그 일정을 빨리 잡아보겠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손 대표의 측근은 “영수회담에서 민주당은 예산안 처리 문제뿐 아니라 (민생예산 확보를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과 남북문제, 물가, 구제역, 한미자유무역협정(FTA) 협상 문제 등을 폭넓게 얘기할 것”이라며 “만약 청와대가 국회 개원 이후 영수회담을 원한다면 회담을 여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민주당이 청와대 회동과 관계 없이 14일 등원하겠다고 하면 이번 주라도 회동을 할 수가 있는데, 회동을 먼저 해야 등원할 수 있다며 압박하는 모양새가 돼버려 상황이 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