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경선 방법엔 이견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에 이어 국민참여당도 시민단체가 제안한 4·27 재보선 야권연대 협상 중재안을 수용하기로 해 중단됐던 협상이 재개될 가능성이 커졌다. 그러나 협상 쟁점지역인 경남 김해을의 단일화 방식 중 ‘국민참여경선’ 방법을 두고 민주당과 참여당이 맞서고 있어 협상타결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참여당은 25일 “조직동원, 돈 선거를 차단할 수 있는 국민참여경선 방안을 도입하는 조건으로, 시민단체의 중재안을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협상에 참여 중인 ‘희망과 대안’ 등 시민단체는 김해을 단일화 방안을 놓고 민주당이 국민참여경선(지역 주민 투표) 100%, 참여당이 전화여론조사 100% 방식을 주장하며 전체 협상을 꼬이게 하자, 지난 21일 국민참여경선(50%)과 여론조사(50%)를 섞는 절충안을 제시한 바 있다.
민주당과 참여당이 중재안을 받긴 했으나, 국민참여경선 방식에선 서로 엇갈린다. 민주당은 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이 지정된 장소에 와서 단일후보를 고르는 현장투표를 요구한다. 참여당보다 강한 민주당 조직을 이용해 선거인단을 현장에 더 데려올 수 있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참여당은 유무선 전화를 이용한 투표를 바라고 있다. 지난해 6·2 지방선거에서 유시민 참여당 후보가 김진표 민주당 후보를 누르고 야권 단일후보가 될 당시 이 방식이 도입됐다.
참여당은 “민주당 방안은 조직 동원력으로 후보를 결정짓자는 것으로, 금품선거를 부르는 위험한 방안”이라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당 협상 대표인 이인영 최고위원은 “국민참여경선이 현장 투표를 의미한다는 건 연대협상에서 이미 알려진 것”이라며 “참여경선을 준비하는 일정 등을 고려하면 27일까지 협상이 마무리돼야 한다”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