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당, 시민단체 중재안 거부
민주당과 표본추출방식 ‘이견’
민주당과 표본추출방식 ‘이견’
4·27 재보선 야권연대 협상에서 국민참여당이 시민단체의 중재안을 거부해 잠정적 협상결렬이 선언되는 등 야권후보 단일화가 중대 갈림길에 섰다. 야권에선 투표 이틀 전에서야 단일화를 했다가 여당에 졌던 지난해 7·28 은평을 재보선의 실패를 되풀이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협상에 참여했던 <희망과 대안> 등 4개 시민단체는 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민단체의 마지막 제안에 대해 민주당은 수용했지만, 참여당이 거부해 4·27 재보선의 포괄적 야권연합은 실패로 돌아갔다”며 협상중단을 선언했다.
앞서 시민단체는 민주당과 참여당이 경남 김해을 국민참여경선 방식을 놓고 맞서자 지난 29일 세부방식을 시민단체에 맡겨달라고 제안했고, 참여당은 ‘백지위임’할 수 없다며 거부의사를 밝혔다.
현재 민주당과 참여당은 경남 김해을 야권단일후보 경선과 관련해 선거인단 현장투표를 통한 국민참여경선(50%)과 전화 여론조사(50%)를 섞자는 데 합의했으나, 선거인단 추출방식에서 엇갈린다. 민주당은 선거인단을 모집한 뒤 최종 선거인단을 무작위로 뽑자는 반면, 참여당은 김해을 지역의 성별, 지역별, 연령별 비율을 고려해 선거인단을 추리자고 요구하고 있다.
시민단체는 중재를 거부한 참여당을 비판했다. 이들은 “참여당이 표본추출방식이란 문제 때문에 야권연합이란 국민의 열망을 흔드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참여당이 중재를 받아들이면 협상이 복원될 가능성을 열어두었지만, 재개 여부는 불투명하다. 이백만 참여당 대변인은 “지역·연령별 추출은 최소한의 조건”이라며 “이게 수용되지 않으면 협상에 참여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야권에선 여론조사, 국민참여경선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할 때 이번 주말까지 협상이 열려 합의되지 않으면 일괄타결은 물건너가고 선거가 임박해서 지역별로 단일화하는 상황에 내몰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럴 경우 전남 순천 무공천 등 민주당이 세운 연대방안도 다시 내부 반발에 부닥칠 수 있다. 협상 관계자는 “협상이 끝내 어그러지면 내년 총선과 대선에서 더 크게 연대하려던 야권이 모두 상처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호진 기자 dmz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