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의 주요 정치운동·조직 현황
‘백만송이…’ ‘진보의 합창’ 등 ‘백가쟁명’식
내년 총선·대선 대비 정치적 요구 반영 모색
내년 총선·대선 대비 정치적 요구 반영 모색
야권이 4·27 재보궐 선거에 단일후보를 내는 등 공동전선을 펴고 있는 가운데, 시민사회에서는 내년 총선과 대선을 대비한 시민정치운동이 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과거 정치권과 거리를 두려 했던 시민사회가 이젠 적극적으로 나름의 이론과 로드맵을 제시하며 ‘백가쟁명’식 정치운동에 나서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시민사회에서는 “2008년 촛불집회의 경험 때문”이라고 입을 모은다. 당시엔 이른바 ‘촛불 시민’의 에너지를 현실에 반영할 통로가 없었지만, 총선과 대선이 있는 내년엔 잠재됐던 시민들의 정치적 요구를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는 ‘판’이 열린다는 것이다.
시민사회의 움직임은 크게 두 갈래다. 진보·개혁 정당의 통합에 힘을 보태거나 궁극적으로는 새로운 진보정당을 통해 선거를 치르자는 움직임이 있고, 한편에선 다양한 방법을 통해 기존 정당의 변화를 끌어내려는 비정당 시민운동도 진행되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정당 통합을 어느 범위까지 추진할 것인가’의 문제가 중심이고, 내용적으로는 지난해 6·2 지방선거 때 무상급식과 같은 생활정치 이슈 및 복지, 민생문제 등을 어떻게 담아낼지 등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다.
각계 인사들이 참여해 지난 2월부터 준비해 온 ‘진보의 합창’은 20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장기적으로 새로운 진보정당 창당을 염두에 둔 유권자 운동을 벌이자’는 제안을 내놓을 예정이다. 현실적으로 민주당과의 통합은 어려운 만큼, 현재의 민주노동당, 진보신당뿐 아니라 시민사회와 노동계, 학계, 청년운동까지 포괄하는 새로운 정당을 창당하자는 취지다. 박석운 민주언론시민연합 공동대표와 우희종 민교협의장, 김영훈 민주노총 위원장, 김영경 청년유니온 위원장 등 40여명이 제안자로 참여했으며, 5월 말까지 1만명의 제안자를 모아 공식 출범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하반기에는 시민사회의 주요 인사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복지국가와 진보대통합을 위한 시민회의’(시민회의)가 출범하면서 이런 논의의 물꼬를 튼 바 있다. 시민회의는 “민주당만 바라보는 시혜적인 선거연합은 시너지도 없고 성과도 적다”는 취지로 진보정당과 국민참여당 등의 대통합을 강조한다.
이와 달리 배우 문성근씨가 대표를 맡고 있는 ‘백만송이 국민의 명령’은 “민주당을 포함한 야5당의 단일정당을 만든 뒤 국민참여경선을 통해 최강의 후보를 선출하자”는 매우 구체적인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19일 현재 10만5천여명이 이 캠페인에 참여할 만큼 대중적 인지도가 높다.
지난달 29일 창립준비위원회가 발족한 ‘내가 꿈꾸는 나라’는 남윤인순 전 한국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와 김기식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운영위원장, 조국 서울대 교수가 공동준비위원장으로 참여하고 있다. 진보개혁세력의 연대·통합과 2012년 이들의 집권을 내세우고 있지만, 다른 캠페인과는 달리 비정당적 시민정치운동을 지향한다. 대신 최근 정치권이 앞다퉈 도입하고 있는 국민참여경선 등을 적극 활용하고, 정치권을 움직일 수 있는 새로운 가치나 비전을 내놓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김종엽 한신대 사회학과 교수는 “현재로서는 시민사회가 진보정당 통합을 압박하거나 새로운 정치문화를 만들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며 “논의가 좀더 진전되면 자연스럽게 한두 가지의 통합적 흐름이 나타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석진환 기자 soulfat@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